티스토리 뷰
□ 가스트린
가스트린 검사는 혈액의 가스트린 양을 측정한다. 가스트린은 위에서 생성되는 산의 양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위에서 소화가 일어나는 동안 G세포라는 특수 세포에서 호르몬이 분비된다. 음식을 먹으면 위는 산성이 줄어들고 가스트린 생성이 증가한다. 생성된 가스트린은 벽 세포를 자극해 위산 생성을 자극한다. 위가 산성화 되면 음식은 쪼개지고, 가스트린 생성은 억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혈중 가스트린이 약간 낮거나 정상적인 농도로 유지된다.
드물지만 G세포 과식증 또는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으로 인해 위산 생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료하기 힘든 소화성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은 높은 가스트린 수치와 과도한 위산 분비가 특징이며 가스트린을 분비하는 종양인 가스트린 종에 의한 소화성 궤양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가스트린 종은 췌장, 십이지장 그리고 드물지만 다른 부위에서 생길 수 있다. 이 중 절반 이상이 악성 종양이어서 간 등 몸의 다른 부위에 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주 작은 종양이어도 많은 양의 가스트린을 분비할 수 있다.
혈액은 팔의 정맥에서 채취하며 12시간 공복 및 24시간 금주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위산을 억제하는 특정 약물을 며칠간 복용 중단해야 할 수 있다.
□ 검사는 언제 하는가?
가스트린 검사는 환자가 설사, 복통, 재발하는 소화성 궤양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이러한 증상이 과도한 가스트린의 생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의심될 때 시행할 수 있다. 가스트린 자극 검사는 가스트린 수치가 과도하게 높지는 않지만 환자의 증상이 가스트린 종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 의심될 때 시행한다. 가스트린 검체를 모은 후 환자에게 가스트린 자극 물질(세크레틴)을 주고 난 후 일정 시간 후 가스트린 검사를 실시한다.
가스트린은 특수 장비를 사용하여 검사하며, 모든 의료기관에서 실시하지는 않는다. 다른 검사실에 보내 검사를 할 수 있어 결과가 나오는데 수 일이 소요되기도 한다.
가스트린 종이 제거된 후 종양의 재발을 검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 검사 결과
가스트린이 낮거나 정상 범위인 경우 특별한 의미는 없다. 수치가 약간 증가하는 것은 다양한 상황에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G세포 과증식, 위축성 위염, 악성 빈혈, 유문부 폐쇄(위와 십이지장의 경계부가 막힌 것), 만성 신부전 등이 있다.
가스트린 수치는 나이가 많을수록, 제산제나 위산 분비 억제제 등 위산을 중화하거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 투여를 지속적으로 했을 때 증가할 수 있다. 검사 전 공복이 아닌 환자에게서도 증가한다.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가스트린 수치가 크게 증가한 경우, 가스트린 자극 검사에서 가스트린이 증가한 경우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또는 하나 이상의 가스트린 종을 시사할 수 있다. 가스트린 수치가 높은 경우 가스트린 종 위치를 찾기 위해 영상 검사를 실시한다. 가스트린 분비량은 종양의 크기나 개수와 관계없이 아주 작은 종양 하나에서도 많은 양의 가스트린을 분비할 수 있다.
가스트린 종을 수술적으로 절제한 경우 가스트린 수치가 낮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은 종양의 재발을 의미한다. 수술 후 농도가 감소하지 않는 것은 치료의 효과가 없음을 의미한다.
□ 위산 분비를 조절하기 위해 위장약만 먹으면 안 되나?
위산 분비 억제제 같은 위장약은 치료의 일환으로 처방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저질환을 없애는 것이다. 가스트린 종은 절반 이상이 악성이고 체내 다른 부위로 퍼질 수 있다.
□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이란?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은 위, 십이지장, 소장 상부 등에서 드물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소화성 궤양이 특징적인 증상이다. 가스트린 종의 절반 이상은 악성이며 간 등 체내의 다른 곳에 전이될 수 있다. 종양은 수술적으로 절제되어야 하며 산 분비 조절을 위해 위 저네를 절제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가스트린 종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다발성 내분비성 신생물-1(MEN-1) 유전자를 가진 사람에게서 위험성이 증가한다. 이 사람들은 평생 동안 다른 내분비 기관에서 종양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다.
전체 위궤양 중 가스트린 종에 의한 위궤양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당히 적다. 보통 위궤양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이나 이부프로펜 등 소염 진통제 사용과 관련이 있다.
2021.07.02 - [분류 전체보기] -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치료 및 생존율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치료 및 생존율
□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ollinger-Ellinson syndrome)은 췌장이나 소장 상부(십이지장)에 종양이 발생하는 희귀 질환이다. 가스트린 종이라고 불리는 이 종양은 많은 양의 가스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