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무릎 활액낭염이란
무릎 활액낭염(점액낭염)은 무릎 관절 근처에 위치한 작은 액체 주머니의 염증이다. 활액낭(점액낭)은 뼈와 관절 근처의 힘줄, 근육 및 피부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압력을 완화한다. 윤활낭은 어깨, 팔꿈치, 엉덩이, 무릎 등 큰 관절 근처의 힘줄에 인접해 있다.
무릎 활액낭염의 원인
무릎의 활액낭염은 운동선수들의 부상과 무릎을 과도하게 사용으로 활액낭이 혈액으로 가득 차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활액낭염은 통풍성 관절염, 가성 통풍, 류마티스 관절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드물지만 면역체계가 억제되면 윤활낭이 박테리아에 감염될 수 있다. 이 상태를 패혈성 활액낭염이라고 한다. 패혈성 활액낭염이 발생하면 열이 날 수 있다. 패혈성 활액낭염은 피부의 파손이나 찔린 상처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피부에 존재하는 포도상구균에 의해 발생한다.
무릎 활액낭염의 증상
무릎은 3개의 주요 윤활낭이 있다. 슬개골 위의 무릎 끝 부분에 슬개 점액낭이 있다. 슬개 점액낭은 무릎 앞쪽의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무릎을 꿇은 자세를 오래 유지할 때 발생하여 슬개 전 부위의 자극을 유발한다.
슬개골 아래 큰 힘줄의 긴장은 건염과 슬개골 하 활액낭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 활액낭은 허벅지 앞의 근육과 슬개골을 다리 앞쪽의 돌출된 뼈에 연결하는 큰 힘줄 바로 아래에 있다. 점프 부상의 결과로 인접한 힘줄의 염증으로 흔히 볼 수 있으며, "점퍼의 무릎"이라는 이명이 있다.
무릎 안쪽의 윤활낭 염증은 페세린 윤활낭염을 유발할 수 있다. 페세린 활액낭염은 무릎 안쪽의 국소 압통을 유발한다. 이 윤활낭염은 중년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비만인 사람들에게서도 흔하게 나타나며,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 안쪽의 통증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무릎을 꿇을 때 통증이 증가하고 걸을 때 뻣뻣함과 통증을 유발한다. 또한 슬관절 내 분제와 달리 슬관절의 가동 범위가 유지되는 경우가 많고 부종이 관절 외부에 있는 경우가 많다.
활액낭염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경우에 따라 몇 주가 걸릴 수도 있다. 활액낭염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할 일은 휴식이다. 무릎을 사용하던 행동, 관절에 부담을 주는 활동, 쪼그리고 앉는 것 같은 반복적인 행동을 피해야 한다.
감염에 의한 활액낭염은 주의해야 한다. 강한 통증과 뜨겁고 피부가 붉어지고, 떨림, 발열 등의 특징이 있다면 빠르게 진찰받는 것이 좋다.
무릎 활액낭염의 치료
무릎 활액낭염은 통증을 유발하고 이동성을 제한한다. 활액낭염은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치료는 통증과 염증을 완화하기 위한 자가 관리를 가장 먼저 시도한다. 그러나 통증이 사라지지 않거나 감염에 의한 활액낭염인 경우 항생제를 통한 치료를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