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반 질환

결절종 특징 및 결절종 치료

종훈보이 2021. 11. 8. 16:59

□ 결절종

결절종은 손목이나 발목, 손의 힘줄, 관절을 따라 발생하는 비암성 덩어리이다.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젤리 같은 액체로 채워져 있다. 크기는 완두콩 크기에서 직경 2.5 센티미터까지 다양하다. 결절종이 근처 신경을 압박하면 고통스러울 수 있다. 대부분 무해하지만 위치에 따라 관절을 움직이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절종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 의사는 바늘로 낭종을 배출할 수 있다. 수술로 제거하는 것도 하나의 옵션이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경우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저절로 사라진다.

- 결절종의 특징

1. 위치

다른 관절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손목이나 손의 힘줄, 관절을 따라 가장 흔하게 발생한다. 그다음으로 흔한 위치는 발목과 발이다.

2. 모양과 크기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일반적으로 직경 2.5cm 미만이다. 종종 너무 작아서 느낄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결절종의 크기는 변동될 수 있으며,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해당 관절을 사용하는 경우 커질 수 있다.

3. 통증 

일반적으로 통증이 없다. 그러나 낭종이 신경을 누르면 외관상 작아 보여도 통증, 따끔거림, 무감각, 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다. 

 

 

□ 결절종의 원인과 증상

결절종이 발생하는 원인을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없다. 관절이나 힘줄을 둘러싸고 있는 조직이 제자리에서 부풀어 오를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낭종 내부에는 관절이나 힘줄 주변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한 윤활액이 들어있다.

결절종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지만 20~40세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손가락 관절에 마모성 관절염이 있는 사람은 해당 관절 근처에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다. 또한 부상당한 관절이나 힘줄에 결절종이 발생하기도 한다.

결절종의 가장 흔한 증상은 눈에 보이는 덩어리, 불편함, 통증이다. 결절종의 발생 위치가 발목인 경우 걷거나 신발을 신을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손이나 손목에 발생하는 경우 악력이 약해질 수 있다.

 

 

□ 결절종의 진단 및 치료

신체검사 중 의사는 결절종에 압력을 가해 압통이나 불편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단한 덩어리인지 또는 액체로 채워져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빛을 비출 수 있다.

관절염이나 종양 등 다른 상태를 배제하기 위해 X-Ray, 초음파, MRI 등 영상 검사를 권유할 수 있다. MRI와 초음파는 잠재적인 결절종을 찾을 수 있다.

- 결절종의 치료

결절종은 대부분 통증이 없어 치료할 필요가 없다. 즉각적인 치료보다는 관찰하며 경과를 지켜보자는 제안을 할 확률이 높다. 그러나 낭종이 통증을 유발하거나 관절 운동을 방해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치료가 필요하다.

  • 고정 : 활동으로 인해 결절종이 커질 수 있으므로 보조기나 부목 등으로 해당 부위를 일시적으로 고정한다. 낭종이 줄어들면서 신경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어져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보조기나 부목을 장기간 사용하면 근육이 약해질 수 있다.
  • 흡인 : 바늘을 사용하여 결절종에서 체액을 배출한다. 이 경우 결절종이 재발할 수 있다.
  • 수술 : 다른 방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선택할 수 있다. 결절종과 결절종이 발생한 줄기를 제거한다. 드물게 수술로 주변 신경, 혈관, 힘줄 등이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낭종은 수술 후에도 재발할 수 있다. 수술 후 약 30%가 재발하며, 흉터가 생길 수 있다.

결절종의 통증이 있는 경우 이부프로펜(일반의약품)과 같은 진통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