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두드러기(Urticaria, hives)란
두드러기는 홍반성 발적을 동반한 매우 가려운 피부 발진이다.(홍반성 발적이 없을 수도 있다.) 두드러기와 함께 자주 나타나는 부종을 혈관부종이라고 한다.
두드러기(Urticaria)라는 이름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쐐기풀 Urtica dolica에서 유래되었다. 알레르기 반응, 특정 식품의 화학 물질, 벌레에 쏘임, 햇빛, 약물 등이 두드러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두드러기가 발생한 이유를 정확히 알아내는 것은 대부분 불가능하다. 급성 두드러기의 50%, 만성 두드러기의 70%에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며, 전체 두드러기 환자의 일부에서만 원인을 밝힐 수 있다. 특히 급성 두드러기는 약물, 음식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만성 두드러기는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두드러기의 유형
- 급성 두드러기
두드러기 발생 기간이 6주 미만 동안 지속되는 두드러기이다. 가장 흔한 원인은 음식, 약물 및 감염이다. 벌레에 물리는 것과 질병도 원인이 될 수 있다.
급성 두드러기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음식은 견과류, 초콜릿, 생선, 토마토, 계란, 딸기, 우유 등이다. 신선한 음식이 조리된 음식보다 두드러기를 더 자주 유발한다. 또한 특정 식품 첨가물과 방부제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두드러기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에는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고혈압 악물, 코데인 등의 진통제가 있다.
- 만성 두드러기
6주 이상 지속되는 두드러기이다. 일반적으로 급성 두드러기에 비해 원인을 찾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원인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 때로는 원인이 갑상선 질환, 간염 또는 암일 수 있다.
만성 두드러기는 폐, 근육 및 위장관 같은 기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증상으로는 숨 가쁨, 근육통,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물리적 두드러기(physical urticaria)
물리적 두드러기는 피부를 자극하는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추위, 열, 햇빛, 진동, 압력, 발한 등이 포함된다. 두드러기는 피부가 자극받은 부위에 발생하며 다른 곳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대부분의 두드러기는 자극이 발생된 지 1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 피부 묘기증(dermatographism)
피부 묘기증은 두드러기의 일종으로 피부를 세게 쓰다듬거나 긁은 후에 두드러기가 형성되는 물리적 두드러기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약한 자극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피부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가려워서 긁으면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 대부분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우리나라 인구의 약 5% 정도에서 나타난다.
□ 두드러기의 원인
두드러기는 다음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알레르겐
- 극한의 온도와 같은 물리적 원인
- 근본적인 건강 상태
때로는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명확한 이유가 없는 경우도 있다. 만성 두드러기의 경우 자가면역 반응의 결과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알레르겐(알레르기 유발 항원)
두드러기는 신체가 알레르겐에 반응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하면 신체는 히스타민이라는 단백질을 방출한다. 그다음 모세혈관에 체액이 누출된다. 이 체액은 피부에 축적되어 염증과 발진을 일으킨다. 체액이 피부 아래에 축적되면서 작은 융기가 형성된다.
사람이 알레르기가 있는 것을 섭취하거나 만지면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접촉 두드러기'라고 한다.
급성 두드러기가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경우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일부 약물
:일부 항생제, 아스피린 등 일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고혈압 치료제) - 견과류, 계란, 해산물 등 음식 알레르겐
- 라텍스
- 키위, 바나나, 밤 등
- 쐐기풀, 포이즌 아이비, 포이즌 오크 등 일부 식물
- 일부 식품, 화장품 및 기타 제품의 첨가제
- 물리적 원인
알레르겐 이외의 물리적 요인이 두드러기를 유발할 수 있다. 다음은 몇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는 요소이다.
- 햇빛 노출
- 피부를 긁거나 문지르는 것
- 꽉 조이는 벨트 등의 압력
- 극단적인 온도 변화
- 발한, 운동, 샤워로 인한 높은 체온
- 아드레날린
- 자외선
- 물
- 진동
- 건강 상태
만성 두드러기는 자가면역 반응으로 시작될 수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불분명하다.
- 독감, 감기, B형 간염 등 바이러스 감염
- 일부 요로 감염 및 패혈성 인두염과 같은 세균 감염
- 람블편모충과 같은 장내 기생충
- 자가면역 갑상선 기능 저하증
- 류머티즘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병, 체강 질병, 제1형 당뇨병 등 자가면역 질환
- 혈관 염증을 유발하는 기타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