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편도결석은 편도선에 생기는 작은 돌이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인후통, 구취 등 사소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관개, 가글 및 기타 요법으로 편도결석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편도선은 인후 뒤쪽에 있으며 림프계와 면역계의 일부이다. 이상적으로는 편도선이 사람의 구강에 도달하기 전에 박테리아를 제거한다. 그러나 편도선에는 선와라고 하는 작은 주름이 있어 박테리아와 음식이 축적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편도결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집에서 혼자서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방법과 의사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알아본다.
편도결석 제거하는 방법 6가지
1. 저압 세정기
편도결석 제거기 또는 워터픽과 같은 저압 물 세척기는 편도 결석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세정기를 사용하려면 조명이 밝은 거울 앞에서 세척기를 편도 결석 쪽으로 분사한다. 그러나 이 방식으로 편도결석을 제거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결석이 목구멍 뒤쪽으로 떨어져 기침을 유발할 수 있다. 어린이에게는 질식의 위험이 있으니 시도해서는 안 된다.
또한 세척기를 사용하여 정기적으로 편도선을 세척하면 결석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무알코올 구강청결제
무알코올 구강청결제를 부드럽게 가글 하면 편도선 결석을 제거하고 입안의 박테리아 수를 줄일 수 있다. 박테리아를 줄이면 편도결석 형성을 예방할 수 있다.
3. 소금물 가글
따뜻한 소금물로 가글 하면 편도 결석을 푸는 데 도움이 된다. 따뜻한 물 한 컵에 소금 반 티스푼을 넣는다. 소금물을 몇 초 동안 가글하고 필요한 경우 몇 번 반복한다. 소금물 가글은 목이 따끔거리는 것도 완화해 준다.
4. 사과식초 가글
희석된 사과 식초로 가글 하면 결석을 제거하고 분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희석된 식초액은 식초 1 테이블 스푼과 따뜻한 물 1컵을 섞어서 만든다. 하루에 세 번까지 가글 하면 결석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사과식초로 가글 하는 것은 소화 문제 및 충치가 생길 가능성도 포함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5. 면봉
일부 사람들은 면봉을 사용하여 인후 뒤쪽에서 편도 결석을 제거한다. 이 방법은 부상의 위험이 있으므로 시도하기 전 의사에게 조언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어린이에게 시도하는 것은 안된다.
면봉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면봉을 적신 후 인후 뒤쪽으로 삽입한다. 그다음 결석을 부드럽게 쓸어낸다. 또한 목 중간 부분을 터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토 반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편도선 주위에는 혈관이 많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혈이 발생하면 즉시 중단해야 한다.
6. 기침
기침을 강하게 하면 결석이 빠져나오는 경우도 있다. 이는 덜 침습적인 방법이므로 면봉이나 워터픽을 사용하기 전에 시도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먼저 소금물로 가글 하여 결석을 풀어준다. 그런 다음 강한 기침을 하여 결석을 빼내는 시도를 한다.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
편도결석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 빠진다. 기침을 하거나 저절로 빠지는 경우 결석이 빠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크기가 커지는 것처럼 보이는 지속성 결석이 있는 경우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가정 요법으로 편도선 결석을 제거할 수 없는 경우 날카로운 물체로 결석을 억지로 빼내려고 해서는 안된다. 출혈과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편도 주변 부위에는 혈관이 많이 있으므로 이쑤시개, 펜 또는 핀과 같은 날카로운 물체로 편도결석을 제거해서는 안된다.
다음과 같은 편도 감염의 징후가 있는 경우 치료를 받아야 한다.
- 삼키기 어려움
- 편도선 부음
- 귀에서 발생하는 통증
- 편도선에서 고름 또는 흰색 분비물이 나옴
- 편도선 부위의 출혈
- 폐쇄성 수면 무호흡
빈번하고 자극적인 편도선 결석이 있는 경우 의사는 편도선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편도선 절제술을 권할 수 있다. 편도결석으로 인해 상당한 통증, 감염 또는 구취 문제가 심각한 경우에만 편도선 절제술을 권장한다.
요약
편도결석은 일반적으로 경미한 자극에 불과하지만 감염과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소금물 가글, 기침, 면봉 등으로 집에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편도 결석이 커지거나 고통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