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협심증이란?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 동맥이 동맥 경화증으로 좁아지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동맥 경화증은 20대 초반부터 진행되며, 면적의 70% 이상 좁아지면 협심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의 일부 또는 전체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연양 공급이 줄어 심장 근육이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심근경색은 관상 동맥이 완전히 막혀 발생하고 협심증은 어느 정도의 혈류는 유지되므로 운동 등 심장 근육의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증상이 발생한다.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가족력 등이 위험 인자다. 그 외에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도 위험 인자에 포함된다.

■ 협심증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 통증이다. 가슴이 쥐어짜지는 느낌이 들며 주로 가슴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위에 통증이 발생한다. 흔하지 않지만 명치가 아프다, 턱 끝이 아프다, 속이 아프다, 속이 쓰리다고 호소하는 환자들도 있다.

흉통의 지속시간은 보통 5분 이내다. 안정을 취하면 통증이 사라진다. 병이 심해지면 안정 시에도 통증이 발생하며 지속시간도 길어질 수 있다.

■ 협심증 치료

병의 진행 정도가 경미하다면 약물치료도 가능하다. 그러나 근래에는 증상을 조기에 완화시키고 재발을 막기 위해 관상 동맥 중재 시술이나 수술을 권한다.

관상 동맥 중재 시술(관상 동맥 확장 성형술, 관상 동맥 스텐트 삽입술)은 관상 동맥에 관을 삽입하고 가는 철사를 통해 막힌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이다. 수술과 달리 마취가 필요 없고 회복 기간이 짧다. 흉터도 남지 않아 가장 빈번하게 행해진다. 과거에는 수술보다 재발률이 높았지만 최근 약물 스텐트라는 것이 개발되어 재발률이 10% 미만으로 감소했다. 약물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 동맥 시술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관상 동맥 중재 시술이 불가능할 정도로 병이 진행된 경우에는 관상동맥 우회술이라는 수술을 한다. 관상 동맥 우회술은 비교적 효용가치가 낮은 혈관을 이용해 막혀있는 관상 동맥 부위를 우회하게 하는 수술이다. 과거에는 사망률이 상당히 높았으나 수술 기술과 기구의 발달로 인해 사망률이 현저히 떨어졌다.

약물 치료, 관상 동맥 중재 시술, 관상 동맥 우회술은 하나의 방법으로 협심증을 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이용된다. 시술을 받았더라도 약물 치료는 병행해야 하며, 병이 심해지면 수술 치료를 해야 한다.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가 협심증 약을 임의로 중단했을 때 심근경색을 초래할 수 있다. 시술 후 지속적으로 약물 치료를 해야 한다.

■ 주의사항

통증이 시작되면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을 혀 밑에 넣거나 아이 소켄 스프레이 제제를 입안에 뿌려야 한다. 우환 청심환, 구심 같은 민간요법은 가격만 비싸고 과학적으로 증명된 효과는 없다.

니트로 글리세린 설하정이나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5분 이내 통증이 완화된다. 통증이 지속된다면 5분 간격으로 3회까지 사용한다. 통증이 20분 이상 지속되며 설하정이나 스프레이에 반응이 없다면 당장 응급실을 방문해야 한다. 설하정과 스프레이는 항상 휴대해야 한다.

니트로 글리세린 설하정은 햇빛을 쐬면 약효가 상실된다. 반드시 햇빛이 차단되는 용기에 보관해야 한다. 니트로 글리세린 설하정은 혀 밑에 넣었을 때 톡 쏘는 맛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것으로 바꿔야 한다. 아이 소켓 스프레이는 약 100회 사용이 가능하며 유효 기일을 잘 확인해야 한다.

설하정과 스프레이는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하지만 통증이 올만한 힘든 일이나 상황 직전에 복용, 사용해도 좋다.

2021/01/22 - [분류 전체보기] - 심근경색 증상 및 심근경색 치료 주의사항

 

심근경색 증상 및 심근경색 치료 주의사항

※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혈전(응고된 혈액) 또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완전히 막혀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심장 근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