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혈전(응고된 혈액) 또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완전히 막혀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괴사 하는 질환이다. 협심증과는 다르다.
심근경색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며 가장 많은 사망 원인 중 하나다. 초기 심근경색의 사망률은 30%에 달하며 사망환자의 50% 이상이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한다. 약물 및 치료법의 발전으로 급성 심근경색의 사망률을 30% 이상 감소시켰지만, 여전히 25명 중 1명은 퇴원 후 1년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이 생긴다.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으로 퍼지고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 관상동맥을 막는다. 섬유성 막(동맥경화반)이 파열되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동맥경화반의 불안정화나 혈역학적 원인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술 직후, 당뇨, 고혈압, 고령에서 많이 발생하며 심근관류 검사나 운동유발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고혈압과 당뇨가 가장 주요한 위험인자다.
※ 심근경색증 증상
심근경색증 환자의 50% 이상은 평소 아무런 증상이 없다. 건강검진을 하더라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심근경색증이 발생할 경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극심한 가슴 통증이 발생한다.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벌어지는 듯한', '숨이 멎을 것 같은' 통증이 나타난다. 통증이 30분 이상 지속된다. 가슴 통증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통증이라고 표현된다.
흉통 이외에도 호흡곤란, 의식의 혼돈이 생길 수 있다. 심근경색 환자의 20~30%는 흉통이 없기 때문에 급사의 위험이 크다.
※ 심근경색 진단
심한 흉통이 30분 이상 지속되고 식은땀이 동반되면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속하게 병원에 내원하거나 119를 불러 가까운 종합병원에서 심전도 검사 및 심근 효소 검사를 받아야 한다. 119를 기다리는 동안 즉시 니트로 글리세린을 복용해야 한다. 체한 것으로 오인해 손 끝을 따거나 약국 등에 가서 시간낭비를 하지 말아야 한다. 심근경색증은 발병 6시간 내에 병원에 도착해야 심근의 괴사를 막을 수 있고 12시간 내에 조치를 취해야 심근을 성공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심근 괴사 예방 시간 6시간 이내)
심근경색으로 진단된다면 어느 병원, 어느 의사라도 초를 다투는 치료를 시작한다. 약물을 복용할 수도 있고, 관상동맥을 확장하는 시술을 할 수도 있다. 어느 방법이든 가장 빠른 시간 안에 막혀 있는 관상동맥을 다시 열어주는 것이 핵심이다.
※ 심근경색 치료
관상동맥을 뚫어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풍선이나 스텐트를 통해 혈관을 확장하는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이다. 과거에는 이런 시술을 할 수 있는 시설과 인력이 대학병원에 국한되었으나 현재는 상당히 보편화되었다. 2~3시간 내에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을 받는다면 약물치료를 하는 것보다 환자의 경과를 호전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래서 이 시술의 범위가 더욱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관상동맥 성형술의 재개통 성공률이 95~99%로 높다. 관상동맥 성형술은 내원 후 90분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며 흉통 발생 12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12시간 이후라도 흉통이 지속되는 경우 실시한다. 흉통 발생 2~3시간 이내에 실시하면 심근 괴사 없이 정상적인 심장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약물 치료로는 관상동맥을 막은 혈전을 녹이기 위한 혈전용해제가 대표적이다.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이 불가능한 경우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혈전용해제는 응급실 내원 30분 이내에 정맥에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증상 시작 1~3시간 내에 사용되면 가장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에게는 관상동맥 성형술과 치료 효과가 비슷하다.
혈전용해제 치료의 문제점은 재개통 성공률이 60~70%로 낮고, 재발률이 10~15%로 높으며,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현재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 주의사항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 고지질 혈증, 가족력, 비만 등을 적절히 조절하고 정기적으로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최선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예고 없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50%는 이전에 아무런 증상이 없던 환자들이며 나머지는 협심증(관상 동맥이 70% 이상 좁아지는 질환)이 있던 환자들이다. 급성 심근경색증이 예고 없이 찾아오는 이유는 혈관 내경이 심하게 좁아져 있지 않은 부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혈관 내경이 50% 이하인, 별로 심하지 않은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발병 위험 부위를 예측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2021/01/21 - [분류 전체보기] - 협심증 증상과 치료 그리고 주의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