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안면신경 마비 재건수술이란
안면신경은 안면의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이다. 뇌에서 측두골인 귀 뒤 작은 구멍을 통해 안면으로 나와 다섯 가닥으로 나뉜다. 다양한 감정 표현이 안면신경을 통해 가능하다. 또 눈을 감을 수 있게 해 눈울 보호하고, 말을 하고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입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미각과 청각에 일부 영향을 주기도 하는 신경이다.
뇌종양이나 침샘의 악성종양 제거 시 흔히 발생한다. 손상된 신경을 복구하거나 다른 신경을 이어 주기도 한다.
◇ 안면신경 마비 증상
- 표정이 없어진다.
- 입이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돌아가며, 처지고 움직이지 않는다.
- 뺨과 입 사이의 골이 없어지고 평편하다.
-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 음식을 씹기 어렵고, 마비된 쪽으로 침, 음식이 흐른다.
- 이마의 주룸이 없어지고 눈썹을 위로 올리지 못해 앞을 보기 어려워진다.
- 눈을 완전히 감을 수 없다. 눈이 건조해지고 염증이 생긴다. 먼지나 모래가 들어간 듯한 이물감과 충혈이 생기며 더 진행되면 각결막염, 백내장, 실명에 이른다.
- 눈물이 분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눈물이 분비되면 겉으로 흐른다.
- 앞쪽 혀의 미각이 없어진다.
- 청력에 이상이 생긴다.
◇ 안면신경 마비 원인
- 선천적인 경우 : 아기가 울 때 입이 심하게 돌아가며 사시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 벨 마비 : 가장 흔한 원인으로 갑자기 입이 돌아가고 안면 표정이 없어지게 된다. 찬 곳에 엎드려 자거나 찬바람을 맞은 경우, 몸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을 때 감기 등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안면신경이 부어오르거나 눌려 마비처럼 보이게 된다. 벨 마비인 경우 6개월 이내에 95% 이상이 회복된다.
이 외에 뇌졸중, 뇌종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안면신경의 경로인 귀 바로 뒤 측골부 부위에 종양, 중이염 후유증, 세균에 의한 염증이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교통사고 등으로 얼굴에 손상이 생겨 안면 신경이 절단되거나 안면골 골절 후유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안면신경 마비 치료
- 보존적 치료 : 발생 초기 약물 치료나 근 전기 자극 등 보존적 치료를 한다. 안면신경 마비가 6개월 이상 지속되면 안면 근육이 변성되어 근육을 수축할 수가 없다. 이를 예방하고 안면 신경 재생을 돕기 위해 근전기 자극 치료를 한다.
- 수술적 치료 : 회복이 불가능하거나 완전한 안면신경 마비가 되었을 때 수술을 한다. 안면신경을 원 상태로 회복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눈, 입 등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눈썹이나 눈꺼풀이 쳐져 앞을 보기 어려운 경우, 눈을 감을 수 있도록 윗 눈꺼풀에 금 조각을 삽입해 그 무게로 윗 눈꺼풀을 내려오게 한다. 또 입 모양이 대칭을 이룰 수 있게 근육이나 신경의 일부를 절단하는 방법, 늘어진 부위를 당겨주기 위한 근막 견인 봉합술, 혀로 가는 신경을 이용하는 신경 교차술, 저작근 전이술 등 많은 방법이 있다.
- 신경 이식술과 근육 전이술 : 회복이 불가능한 안면 마비인 경우 시행하는 한 방법이다. 수술은 2단계로 이루어진다. 1차 수술은 종아리 감각신경을 일부 떼어내 정상 측 안면신경 분지의 한 끝에 신경 봉합술로 이어주고, 다른 한끝은 마비된 쪽에 연결한다. 이식된 신경을 따라 신경 재생이 이루어지는 1년 후 2차 수술을 시행한다. 허벅지에서 근육 일부를 절제하여 마비된 부위에 옮긴다. 신경과 혈관을 미세 봉합술로 연결해 준다. 2차 수술 직후 삐뚤어진 입이 평상시 위치로 교정되며, 6~1년 후 정상적인 쪽과 동시에 입이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낸다. 또 눈을 감기게 하거나 처진 눈썹을 올려주는 등 사른 수술도 병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