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우울증일까 조울증일까? 사람들은 감정 기복이 심하면 우울증이나 조울증을 의심한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에게 우울증은 잘 알려져 있지만 조울병, 양극성장애라는 진단은 한 번쯤 들어본 적은 있으나 어떤 질병인지 또는 우울증과 어떻게 다른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1형 양극성장애에 대해 알아본다. 자가검사하러 가기 목 차 - 1형 양극성 장애란? - 원인 - 1형 양극성 장애 증상 및 진단기준 - 치료 및 지원 1형 양극성 장애란? 조울병은 기분장애에 속하는 질환이며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DSM)에서는 양극성 장애라고 불린다. 따라서 조울증과 양극성 장애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조울병을 알기 위해서는 '삽화'라는 용어를 이해해야 한다. '삽화'란 비정상적인 기분이 지속되는 양상을 말한다..
떨림이란 몸의 일부가 의지와 상관없이 규칙적으로 흔들리는 것을 말하며 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다. 떨림은 손뿐만 아니라 눈, 얼굴, 머리, 성대, 다리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손에서 나타나는 떨림을 손떨림이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손떨림의 원인과 종류를 살펴보고 병원에서 진찰을 받아야 하는지 알아본다. - 목 차 - 1. 수전증 개요 2. 수전증의 종류 3. 수전증 치료 4. 자주하는 질문 수전증 개요 누구에게나 수전증은 발생할 수 있다. 약물이 원인일 수도 있고 갑상샘 기능 이상 등 질환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태 떨림이나 파킨슨병과 같이 뇌의 운동조절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본태 떨림이란 몸을 움직이거나 물건을 잡으려고 근육에 힘을 줄 때 생기는 떨림..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은 뇌하수체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이 줄어들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하수체란 뇌의 가운데에 있는 작은 분비샘이다. 전엽과 후엽으로 나뉘는데, 전엽에서는 성장호르몬, 갑상샘자극호르몬, 부신겉질자극호르몬, 생식샘자극호르몬, 유즙분비호르몬이 분비된다. 후엽에서는 항이뇨호르몬, 옥시토신이 분비된다.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은 아니다.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면 살아가는 동안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해야 한다. - 목 차 - 1. 원인 2. 증상 3. 검사방법 원인 1. 선천성(특발성) 명확한 원인 없이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출생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2. 선천성(유전성) 뇌하수체에 영향을 미치..
대한민국에서 뇌성마비의 유병률은 출생아 1000명당 2~3명 정도로 선진국과 거의 차이가 없다. 이 수치는 약 40년 동안 큰 변화가 없으며, 약간 증가 추세이다. 유병률이 증가 추세인 이유는 신생아 중환자실의 치료가 향상되고 조산아의 생존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 뇌성마비의 종류 : 이상운동 유형, 침범 부위, 대운동 기능에 따른 분류 뇌성마비의 종류 : 이상운동 유형, 침범 부위, 대운동 기능에 따른 분류 뇌성마비는 발달 중인 아이의 뇌에 손상이 생겨 자세, 운동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유아기의 운동 기능 저하, 발달 지연이다. 이 외에도 뇌의 손상 부위와 중증도 jhun1865.tistory.com - 목 차 - 1. 뇌성마비에 동반되는 장애 2. 치료 방법 ..
뇌성마비는 발달 중인 아이의 뇌에 손상이 생겨 자세, 운동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유아기의 운동 기능 저하, 발달 지연이다. 이 외에도 뇌의 손상 부위와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아이가 뇌성마비를 진단받으면 부모들은 당황하고 절망에 빠지기도 하는데, 이는 "마비"라는 단어를 전혀 움직이지 못하며, 심각한 장애를 갖고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뇌성마비의 증상이나 중증도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으며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이 없을 정도로 경미한 경우도 흔하다. 또한 아이가 성장하면서 적절한 재활치료를 받으면 스스로 보행하거나 교육을 받을 수 있고, 직업, 결혼 등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다. - 목 차 - 뇌성마비의 종류 1. 이상운동 ..
뇌졸중이란 뇌 혈류의 장해로 뇌세포의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뇌혈류 장해에는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파열되며 발생하는 뇌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뇌손상이 발생하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운동장애, 감각장애, 실어증, 의식장애 등 신경 관련 증상이 갑자기 또는 서서히 나타나고 대부분의 경우 후유 장애가 남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 뇌졸중의 재활은 다양한 장애를 조기에 평가하고 적합한 치료를 개인에게 맞추어 진행함으로써 합병증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보행이 가능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직장에 복귀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뇌졸중의 종류 확인하기 뇌졸중의 종류와 종류별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