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1/02/04 - [분류 전체보기] - 뇌종양 증상과 뇌종양의 등급
뇌종양 증상과 뇌종양의 등급
△ 뇌종양이란 뇌에서 자라는 불필요한 세포 덩어리를 지칭하는 말로 뇌 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한 종양과 머리뼈나 머리뼈 주변 구조물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 조직이나
jhun1865.tistory.com
△ 뇌종양의 치료
1. 약물 치료
주로 뇌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에 대한 치료를 시행한다.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는 종양으로 인한 뇌압 상승과 마비 등 신경학적 결손이다.
뇌압은 종양과 종양 주위의 뇌부종, 종양으로 인한 수두증, 정맥 울혈로 인한 용적 증가 등이 원인이 된다. 뇌압이 상승한 경우 뇌 조직이 국소적으로 압박되어 마비가 나타난 경우 뇌부종을 줄이고 뇌의 용적을 줄여 뇌압을 떨어뜨린다. 이때 사용되는 약은 스테로이드 제제, 만니톨, 글리세롤 등의 삼투압제, 이뇨제 등이다. 약제로 뇌압이 조절되지 않으면 과호흡 요법이나 마취 약제에 의한 혼수 요법을 사용한다.
혈중 전해질 농도가 급격하게 변동하거나 세포 내 체액에 저 삼투압 현상이 나타나면 뇌부종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자주 검사해 교정해줘야 한다.
간질 발작이 흔하게 동반되므로 수술 전후 예방을 위해 항경련제를 투여한다.
2. 수술적 치료
진단 목적의 뇌 조직 생검술, 종양을 제거하기 위한 개두술, 종양으로 인한 수두증 등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이 있다. 뇌종양 치료의 첫 번째 단계는 종양의 크기를 작게 하는 것이다. 수술 후 남아있는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치료의 효과가 증가한다.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은 전신 마취가 필요 없고, 피부 절개를 하지 않아도 되는 등 치료 과정이 비침습적이다.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뇌의 중요 부위나 깊은 부위의 병소도 비교적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치료 효과가 종양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종양의 지름이 3cm 이상인 경우 치료 효과가 적어진다. 주변 조직에 침윤하지 않은 종양을 치료하는데 좋다.
3. 진단적 수술
뇌 조직 생검술은 진단 목적으로 시행한다. 뇌의 심부에 위치한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 국소 마취한 후 정위적 방법에 의해 소량의 조직을 얻는 방법과 두개골을 열고 종양을 노출시켜 조직을 얻는 방법이 있다.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이 수술은 종양이 치료 목적의 수술을 하기 부적절한 위치에 있고, 영상의학 검사만으로 신뢰할 만한 진단을 얻지 못할 때 시행한다.
4. 개두술
대부분의 뇌종양에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수술을 통해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다. 전신 마취 후 종양 부위의 두피, 두개골 및 뇌막을 절개하고 종양을 직접 노출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수술의 목적은 종양을 제거하는 것과 수술 시 얻어진 종양 조직을 병리 조직학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악성 종양의 경우 수술만으로 재발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정위적 방사선 수술, 화학 요법 등을 병행한다. 악성 종양이 있는 경우 신경학적 증상을 호전시키고 종양의 크기를 줄여 향후 방사선 치료, 정위적 방사선 수술, 화학 요법에 잘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5. 종양에 의한 수두증 치료
종양에 의해 수두증이 발생한 경우 뇌척수액 배출을 위한 뇌실외 배액술, 뇌실-복막강 단락술을 시행한다. 최근 뇌시경을 이용해 뇌실을 열어주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단락은 뇌척수액이 다시 흐르게 하는 데 사용하는 유연한 관이다. 뇌척수액 흐름을 재개통하면 두통, 오심 등 두개골의 내압 증가에 의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6. 방사선 치료
악성 뇌종양은 수술적 절제가 중요하다. 그러나 수술로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때 보조적 치료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다. 또 침범 범위가 넓어질수록 수술적 절제가 어려우므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해 증상 완화 및 생존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양성 종양에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종양의 위치가 수술로 절제하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경우 종양의 증식 억제를 위해 시행한다.
7. 면역 요법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악성 세포를 효과적으로 찾아내 파괴하도록 유도하는 약제다. 인터페론은 많은 종양세포를 살해하는 면역계에 의해 생산되는 자연 단백질이다. 림프구는 암과 싸우는 능력이 특별하다. 세포 이식 기술을 통해 실험실에서 배양, 활성화할 수 있다. 직접 종양에 주입하여 면역계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쓰이는 세포를 림 카포인 활성화 살해 세포(LAK)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