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다한증
다한증은 열이나 운동과 상관없이 나다나는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발한(땀샘에서 땀을 분비하는 일)이다. 땀이 너무 많이 흐르면 옷에 스며들거나 손에서 흘러 떨어질 수 있다. 심한 발한은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과 난처함을 유발할 수 있다.
다한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강한 발한 억제제를 처방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발한 억제제가 도움이 되지 않으면 다른 약물을 처방한다. 혹은 땀샘을 제거하거나 땀을 과잉 생산하게 만드는 신경을 분리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
다한증의 종류
- 손바닥, 발바닥 다한증 : 긴장하거나 더우면 손, 발에 땀이 많이 나는 증상으로 손바닥 피부염, 기구를 조작하거나 신체 접촉 시 불편하다.
- 겨드랑이 다한증 : 겨드랑이에 땀이 많이 나서 옷이 젖을 정도로 심한 경우
- 안면 다한증 : 가벼운 긴장이나 갑갑한 기분이 들면 얼굴과 머리카락이 젖을 정도로 땀이 나는 증상
- 안면 홍조증 : 대인관계나 가벼운 긴장으로도 얼굴이 붉어지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대인기피를 보이는 증상
□ 다한증의 원인
땀을 흘리는 것은 몸을 식히기 위한 신체 작용이다. 체온이 상승하면 신경계가 땀샘에서 땀을 배출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긴장할 때 손바닥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가장 흔한 형태의 다한증은 일차 다한증이라고 한다. 일차 다한증은 체온이 오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신경이 땀샘에 과도한 땀을 발생하게 한다. 이 유형은 일반적으로 손바닥, 발바닥, 얼굴에 영향을 미친다. 일차 다한증의 의학적인 원인은 없으며 유전적인 요소가 있을 수 있다.
이차 다한증은 의학적 이상 상태로 인해 과도한 땀이 배출된다. 일차 다한증보다 일반적이지 않고 몸 전체에 땀을 흘릴 가능성이 크다. 심한 발한을 유발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 당뇨병
- 폐경기 일과성 열감
- 갑상선 문제
- 저혈당
- 일부 암
- 심장 마비
- 신경계 장애
- 감염
- 특정 약물(아편 유사제) 금단 현상
□ 다한증 진단 및 치료
-일반 검사
혈액, 소변 등의 검사를 할 수 있으며 과민성 갑상선(갑상선 기능 항진증) 또는 저혈당(저혈당증) 같은 다른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땀 검사
요오드 전분 검사, 피부 전도도 및 체온 조절 검사를 통해 발한 부위를 정확하게 찾아내고 상태의 심각성을 평가한다.
다한증의 발생 원인이 다른 질환인 경우 원인이 되는 질환을 먼저 치료한다. 명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경우 과도한 발한을 조절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치료한다.
- 약물 치료
1. 발한 억제제
염화알루미늄과 발한 억제제를 처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자리에 눕기 전 다한증이 발생하는 피부에 바른다. 그런 다음 일어나서 약품을 씻어 낸다. 피부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씻어낼 때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 하이드로 코르티손 크림이 자극을 완화시켜줄 수 있다.
2. 처방 크림
글리코 피롤 레이트가 함유된 크림은 얼굴과 머리에 발생하는 다한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3. 신경 차단 약물
일부 경구용 약물은 특정 신경이 서로 소통하는 화학 물질을 차단한다. 이 약물은 일부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으며 구강 건조, 시야 흐림, 방광 문제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4. 항우울제
우울증에 사용되는 일부 약물도 땀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다한증을 악화시키는 불안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5. 보툴리눔 독소 주사
보톨리눔 독소(Botox, Myobloc 등) 치료는 발한을 일으키는 신경을 일시적으로 차단한다. 피부를 얼리거나 마취한 후 각 부위에 여러 번 주사를 맞는다. 효과는 6~12 개월 지속되며, 치료를 반복해야 한다. 이 치료는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치료 부위에서 일시적인 근육 약화가 있을 수 있다.
- 수술
1. 극초단파 요법
파장 1m 이하, 1mm 이상의 전자파를 이용하는 전기요법이다. 이를 이용해 땀샘을 파괴한다. 치료는 3 개월 간격으로 두 번, 20~30분 정도 소요된다.
2. 땀샘 제거
액와부(겨드랑이)에서만 과도하게 땀이 나는 경우 사용된다.
3. 신경 수술(교감 신경 절제술)
교감 신경 절제술은 손, 발, 안면, 액와부 다한증 등 모든 경우에서 시행한다. 주로 손에 발생한 다한증에서 많이 시행하며 효과도 좋은 편이다.
-수술치료의 합병증
보상성 다한증은 수술 후 모든 사람에게서 발생한다. 70~80%의 환자에게서는 경미하게 나타나 수술 결과에 만족하지만 20~30%는 심하게 나타나 수술을 불만족스러워하거나 수술에 대해 후괴하기도 한다.
보상성 다한증이란 손이나 발에 땀이 나지 않는 대신 다른 부위에서 땀이 나는 것을 말한다. 가장 흔한 부위는 등, 가슴, 배,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사타구니 등이 있다. 보상성 다한증에 대한 치료법은 거의 없으며, 수술 전 상태로 되돌아가기도 상당히 어렵다. 또한 수술 전 보상성 다한증이 어느 정도 심하게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예측 시술을 통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보상성 다한증을 일시적으로 경험해볼 수 있다. 예측 시술은 1~7일 정도 지속된다. 이 기간 동안 다한증에 대한 수술 효과와 다한증의 부위를 미리 경험하고 수술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 다한증 주의사항
1. 음식
체취는 어떤 것을 먹는가에 따라 변한다. 액와 다한증을 완화하려면 식생활 관리가 중요하다. 겨드랑이 악취에 도움이 되는 각종 비타민을 섭취하고, 체취를 악화시키는 고지방식은 멀리하는 것이 좋다. 녹황색 채소의 풍부한 비타민 A를 많이 섭취하면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저항력을 높여 세균과 바이러스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땅콩, 깨, 호박 등 비타민 E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하면 악취의 원인인 과산화 지질을 억제해 악취 완화에 효과적이다.
반면 지방은 체취를 더욱 강하게 만든 성분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액와 다한증으로 고민이라면 우유, 버터, 치즈 등 유제품과 육류 등의 고지방, 고칼로리 식품은 삼가는 것이 좋다.
2. 청결
냄새의 원인은 아포크린 샘에서 분비된 땀과 피지, 피부의 세균이다. 따라서 땀, 피지, 세균을 제거해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액와 다한증 관리의 기본이다. 아침저녁으로 꼼꼼히 샤워하고 항균 비누를 이용해 살균에 주의를 기울인다. 겨드랑이에 털이 있다면 털과 땀, 피지가 엉켜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니 주기적으로 제모해 청결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반신욕이 청결 관리의 일종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액와 다한증에는 좋지 않다. 오히려 발한을 돕는다. 스트레스, 피로 해소 등의 이류로 반신욕을 하고 싶다면 체온과 비슷한 온도(36℃)로 미지근한 물에서 15분 정도, 땀이 나기 전까지 하는 것이 좋다.
2021.07.05 - [분류 전체보기] - 액취증 발생 원인 및 수술 초음파 치료
액취증 발생 원인 및 수술 초음파 치료
□ 액취증 액취증은 겨드랑이 땀샘의 일종인 아포크린 샘에서 분비된 땀으로 인해 냄새가 나는 것이다. 이 땀은 분비될 때는 냄새가 나지 않지만, 분비된 후 피부에 있는 세균에 의해 분해되며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