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지주막하 출혈
지주막하 출혈은 뇌와 뇌를 덮고 있는 막 사이의 공간(지주막하 공간)에서 출혈이 발생하는 것이다. 지주막하 공간은 뇌척수액이 순환하는 공간으로 쿠션 역할을 하며 뇌를 손상에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증상은 심각한 두통이며, 이 공간의 출혈은 혼수상태, 마비,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지주막하 출혈은 대부분 두부 외상의 결과이다. 생존을 위해서는 즉시 치료를 하는 것이다.
□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
대부분의 원인은 두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는데 뇌동맥 내의 이상인 뇌동맥류와 관련이 있다. 원발성 지주막하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딸기 동맥류이다. 이 동맥류는 시간이 지나면서 부풀어 오르고 동맥 벽을 약화시킨다. 동맥류가 발생하면 출혈이 발생하고 혈전 생성으로 이어진다. 동맥류 출혈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40~65세 사이에 호발 한다. 뇌동맥류는 여성, 흡연자, 고혈압 환자에게 더 흔하게 발생한다.
교통사고나 노인이 넘어져 머리를 부딪히는 심각한 머리 부상도 지주막하 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
- 지주막하 출혈의 위험 요소
지주막하 출혈은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사람들은 지주막하 출혈로 이어질 수 있는 뇌동맥류를 가지고 태어난다. 지주막하 출혈은 남성보다 여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크다.
흡연 및 고혈압도 동맥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약물 특히 메스암페타민(각성제, 히로뽕)은 동맥류 발병과 지주막하 출혈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
□ 지주막하 출혈의 증상
- 목 통증
- 몸 전체의 마비
- 어깨 통증
- 발작
- 착란
- 짜증
- 빛에 민감함
- 시력 저하
- 복시
- 구역질
- 구토
주요 증상은 갑작스럽고 심한 두통이다. 이는 두개골 기저부에서 발생한다. 사람들은 경험했던 두통 중 최악의 두통이라고 말한다. 출혈이 시작되기 전 머리가 터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지주막하 출혈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며 빠르게 의식을 잃을 수 있다.
□ 지주막하 출혈 진단
- MRI
- CT 스캔
- 대뇌 혈관 조영술 - 뇌 혈류 감지
- 경두개 초음파 - 뇌 내 동맥 혈류 감지
- 유추 천자 - 뇌 척수액 검사
지주막하 출혈은 신체검사 중 종종 발견된다. 목이 뻣뻣하고 시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지주막하 출혈을 의심할 수 있다. 끔찍한 두통 역시 지주막하 출혈을 의심하게 한다. 적절한 치료를 받고, 출혈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된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 지주막하 출혈 치료
치료는 초기 상태를 안정화하는데 중점을 둔다. 출혈과 압력이 뇌에 축적되어 혼수상태와 추가적인 뇌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뇌 압력은 약물이나 뇌척수액 일부를 배출하는 것으로 완화된다. 동일한 동맥류에서 새로운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출혈의 원인을 찾고 치료해야 한다.
지주막하 출혈이 혼수상태를 유발하는 경우 인공호흡기, 기도 보호, 압력 완화를 위한 배액관 배치 등이 필요하다. 의식을 잃지 않으면 치료 후 혼수상태를 예방하기 위한 지침이 제공된다. 의사는 환자의 몸에 무리를 주거나 몸을 구부리지 않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행동은 뇌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출혈인 경우
- 수술 : 두피를 절개하고 뇌동맥류를 찾는다. 금속 클립을 삽입해 혈류를 차단한다.
- 혈관 내 색전술 : 사타구니 동맥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뇌에 연결한다. 분리 가능한 백금 코일이 동맥류에 삽입된다. 코일은 혈류를 감소시키고 혈액을 응고시킨다.
- 기타 혈관 내 치료 : 스텐트 보조, 혈류를 전환시키는 장치 등으로 특정 동맥류를 치료할 수 있다.
지주막하 출혈 환자의 절반 가량은 병원으로 옮기는 도중에 사망한다. 입원 환자 중 절반은 성공적으로 치료되지만, 나머지는 출혈이 재발한다. 향후 6개월 내로 출혈이 생기지 않거나 수술이 성공적이라면 재발할 확률은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