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편두통(Migrine)

편두통은 한쪽 머리에 심하게 욱신거리는 통증이나 맥박이 느껴지는 두통이다. 메스꺼움, 구토, 빛과 소리에 대한 과민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편두통 발작은 몇 시간에서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통증이 심해 일상생활을 방해할 수 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전조라고 알려진 경고 증상이 두통 전이나 두통과 함께 발생한다. 전조는 빛의 섬광, 사각지대 같은 시각 장애 또는 얼굴 한쪽이나 팔다리의 따끔거림, 말하기 어려움 등 기타 장애를 포함한다.

 

 

□ 편두통의 증상

편두통은 전징(전구증상), 조짐, 도짐, 후구 증상 4단계로 나뉜다. 편두통이 있는 모든 사람이 모든 단계를 거치는 것은 아니다.

- 전징 : 예비 징후

편두통이 있기 1~2일 전에 다가오는 편두통을 경고하는 미묘한 변화가 생긴다.

  • 변비
  • 기분 변화(우울증에서 행복감)
  • 음식 갈망
  • 목이 뻣뻣함
  • 배뇨 증사
  • 체액 저류
  • 잦은 하품

- 조짐

일부 사람들에게 편두통 전이나 편두통 증상이 나타나는 동안 조짐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적 문제가 발생하지만 다른 장애도 포함될 수 있다. 각 증상은 점차적으로 발생하며 몇 분에 걸쳐 누적되며 최대 1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다.

  • 다양한 모양, 밝은 점 또는 섬광을 보는 듯한 시각적 현상
  • 시력 상실
  • 팔이나 다리가 바늘에 찔르는 듯한 느낌
  • 얼굴 또는 신체 한쪽이 무감각함
  • 말하기 어려움

- 도짐

편두통은 치료하지 않으면 4~72 시간까지 지속된다. 편두통이 발생하는 빈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 머리 한쪽에서 나타나는 통증
  • 욱신거리거나 맥박이 느껴지는 통증
  • 빛, 소리, 냄새 등에 민감해짐
  • 메스꺼움, 구토

- 후구 증상

편두통 발작 후 최대 하루 동안 혼란스럽고 기운이 없어지는 것처럼 느낀다. 어떤 사람들은 기분이 들떠 있다고 느낀다. 갑작스러운 머리 움직임은 통증을 다시 유발할 수 있다.

 

 

□ 편두통의 원인

  • 여성 호르몬의 변화
    : 월경, 임신, 폐경 등 에스트로겐의 변동이 많은 여성에게 두통을 유발한다. 경구 피임약 같은 호르몬 약물도 편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다.
  • 음료수
    : 알코올과 카페인이 포함된다.
  • 스트레스
    : 직장 혹은 가정의 스트레스는 편두통을 유발한다.
  • 감각 자극
    : 밝거나 깜박이는 불빛, 큰 소리 등은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큰 소리, 향수, 페인트 희석제, 간접흡연 등 강한 냄새가 영향이 있을 수 있다.
  • 수면 부족
    : 부족하거나 너무 과하면 편두통이 생길 수 있다.
  • 물리적 요인
    : 성행위를 포함한 격렬한 신체 활동
  • 날씨 변화
    : 날씨나 기압 변화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 약물
    : 니트로글리세린 같은 경구 피임약과 혈관 확장제는 편두통을 발생시킬 수 있다.
  • 식품
    : 숙성된 치즈 짠 음식, 가공 식품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 식품 첨가물
    : 감미료인 아스파탐, 글루타민산 나트륨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두통을 없애기 위해 진통제를 너무 자주 복용하면 심각한 약물 남용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카페인 조합이 조합될 경우 약물 남용 두통 발생 위험이 가장 크다.

 

 

□ 편두통의 치료

치료는 증상을 멈추고 미래의 발작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약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 진통제 : 편두통 발작 중에 복용하며, 증상을 멈추도록 고안되었다.
  • 예방 약물 : 편두통의 중증도 또는 빈도를 죽이기 위해 정기적으로 복용한다.

치료의 선택은 두통의 민도와 심각도, 메스꺼움과 구토가 있는지 여부, 두통에 얼마나 무기력했는지, 다른 의학적 상태에 따라 다르다.

- 완화를 위한 약물

편두통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약물은 편두통의 징후와 증상이 시작되자마자 복용할 때 효과가 좋다.

  • 진통제 : 아스피린, 이부프로펜이 포함된다. 너무 오래 복용하는 경우 약물 남용 두통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위장관에 궤양과 출혈이 생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미한 편두통에만 적용된다.
  • 트립탄 : 수마트립탄, 리자트립탄 등의 약물은 뇌의 통증 경로를 차단해 두통을 없앤다. 알약, 주사, 비강 스프레이 등으로 복용한다. 뇌졸중이나 심장마비의 위험이 있는 사람에게는 안전하지 않다.
  • 디히드로에르코타민 : 비강 스프레이, 주사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약물은 24시간 이상 지속되는 편두통에 사용되며, 증상이 시작된 후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부작용에는 구토, 메스꺼움의 악화가 생길 수 있다. 관상 동맥 질환, 고혈압, 신장 또는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이 약물을 피해야 한다.
  • 라스미디탄 : 이 약물은 진정 효과가 있어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복용 후 최소 8시간 동안 운전이나 기계 조작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우브로게판트 : 편두통 치료제로 승인된 최초의 약물이다. 통증과 메스꺼움, 빛과 소리에 대한 민감성 등 기타 편두통 증상을 완화하는데 뛰어나다. 부작용으로는 구강 건조, 메스꺼움, 과도한 졸음 등이 있다.
  • 오피오이드 약물 : 다른 편두통 약을 복용할 수 없는 사람은 아편 유사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중독성이 강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치료법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한다.
  • 항 메스꺼움 약물 : 클로르프로마진, 메토클로프라미드, 프로클로르페라진 등이 포함된다. 보통 진통제와 함께 복용한다.

이 약물 중 일부는 임신 중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지 않다. 임신 중이거나 임신을 계획 중인 경우 먼저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 예방 약물

약물은 잦은 편두통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치료 약물에 잘 반응하지 않고 빈번하고 오래 지속되는 심한 두통이 있는 경우 예방 약물을 권장할 수 있다.

예방 약물은 편두통에 걸리는 빈도, 발작의 중증도, 지속 시간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혈압 강하제 : 베라파밀같은 칼슘 차단제는 조짐이 잇는 편두통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 항우울제 : 삼환계 항우울제가 예방에 도움이 된다. 아미트립틸린은 졸음 등의 부작용이 있다.
  • 항경련제 : 편두통이 적게 발생하는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부작용으로는 현기증, 체중 변화, 메스꺼움 등이 발생한다. 임신한 여성이나 임신을 계획 중인 여성에게 권장하지 않는다.
  • 보톡스 주사 :오나보툴리눔톡신A를 주사하면 편두통 예방에 도움이 된다.

- 홈 케어

  • 냉찜질
  •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 머물기
  • 부족한 수면 취하기

- 보충제

보충제는 편두통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효과가 있다는 증거는 제한적이다.

  • 피버퓨
  • 마그네슘
  • 코엔자인 Q10
  • 머위
  • 리보플라민(비타민 B2)

 


 

 

 

편두통 예비 징후와 증상 완화

□ 편두통(Migrine) 편두통은 한쪽 머리에 심하게 욱신거리는 통증이나 맥박이 느껴지는 두통이다. 메스꺼움, 구토, 빛과 소리에 대한 과민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편두통 발작은 몇 시간에서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