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peripheral neuritis)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당뇨병이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일종의 신경 손상이다. 제1형, 제2형 당뇨병 모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고혈당은 몸 전체의 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대부분 다리와 발의 신경에 문제가 생긴다.

영향을 받는 신경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은 무감각, 소화기 계통, 요로, 혈관 및 심장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증상의 중증도도 다양해 어떤 사람은 가벼운 증상만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고통스럽고 무력할 수 있다.

신경병증이 심하거나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부상이나 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다. 심각한 경우 상처나 감염에 치유가 잘 되지 않아 절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당뇨병성 신경증은 신체 여러 부위에 영향을 미치고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정기적으로 혈당 수치를 확인하고 신경병증 증상이 있으면 진찰받는 것이 중요하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유형과 유형별 증상

- 말초신경병증

말초신경병증은 원위 대칭 말초 신경병증이라고도 부른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가장 흔한 유형이다. 먼저 발과 다리에 영향을 미치고 손과 팔에 영향이 생긴다. 

밤에 증상이 더 자주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당뇨병 환자는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상처를 치유하기가 더 어렵다. 당뇨 환자의 말초신경병증은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고, 극단적인 경우 감염으로 인해 절단할 수 있다.

  • 마비 또는 통증
  • 온도 변화를 느끼는 감각 저하
  • 날카로운 통증 또는 경련
  • 촉각의 민감도 증가(이불의 무게도 고통스러울 수 있음)
  • 궤양, 감염, 뼈 및 관절 통증 등 심각한 발 문제
  • 불에 타는듯한 감각
  • 균형 감각 상실 

- 자율신경병증

자율 신경계는 심장, 방광, 위, 내장, 성기, 눈 등을 제어한다. 자율신경병증은 당뇨병 환자에게서 두 번째로 흔한 유형의 신경병증이다.

위 마비는 소화를 지연시키며 시간이 지나면서 악화된다. 메스꺼움 구토를 유발할 수 있으며 너무 빠르게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소화가 지연되면 혈당 수치가 요동쳐 조절하기 더 어려워진다.

발한 및 심장 두근거림 등 저혈당 증상은 자율신경병증이 있는 사람에게서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저혈당이 있을 때 알아차리지 못하는 것은 저혈당 응급 상황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박수와 혈압을 조절하는 신경이 손상되면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누워있거나 앉아있다가 일어설 때 또는 무리하게 힘을 쓸 때 혈압이 덜어지고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자율신경병증 때문에 심장마비의 일부 증상을 식별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심장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가슴 통증이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 근위 신경병증

당뇨병성 근위축증으로도 알려진 근위 신경병증이다. 이 신경병증은 제2형 당뇨병이 잘 조절되는 50세 이상의 성인에게서 잘 나타난다.

허벅지, 엉덩이, 다리 신경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신체 한쪽에 나타나지만 다른 쪽으로도 퍼질 수 있다. 갑작스럽고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다리 근육의 약화로 도움 없이 일어서기 어려울 수 있다.

증상이 시작된 후 악화되다가 천천히 개선되기 시작한다. 다행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치료 없이 몇 년 이내에 회복된다.

- 국소 신경병증

국소 신경병증은 단일 신경병증이라고 부르며, 특정 신경의 손상을 말한다. 특정 신경에 손상이 있을 때 영향을 받은 부위에 쇠약을 유발한다. 손, 머리, 몸통, 다리에서 자주 발생한다.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며 매우 고통스럽다. 근위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몇 주 또는 몇 달 안에 사라지고 지속적인 손상을 남기지 않는다. 가장 흔한 유형은 수근관 증후군이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원인

각 유형의 신경병증은 정확한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조절되지 않은 고혈당이 신경을 손상시키고 신호를 보내는 능력을 방해하여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유발한다고 추측하고 있다. 고혈당은 신경에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하는 모세혈관의 벽을 약화시킨다.

비타민 B12가 부족할 때 신경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 관리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약물인 메트포르민은 비타민 B12의 수치를 감소시킨다. 비타민 결핍을 확인하기 위해 간다한 혈액 검사를 할 수 있다.

- 위험 요소

  • 혈당 조절 : 혈당 조절이 안되면 신경 손상을 포함한 모든 당뇨병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한다.
  • 당뇨병 :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원인은 당뇨병을 앓는 기간이 길수록 증가한다. 특히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 신장병 : 당뇨병은 신장을 손상시킬 수 있다. 신장이 손상되면 독소를 혈액으로 보내 신경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과체중 : 체질량 지수가 25 이상이면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 흡연 : 흡연은 동맥을 좁히고 단단하게 만들어 다리와 발로 가는 혈류를 감소시킨다.

- 합병증

  • 저혈당 무의식 : 70 mg/dL 미마의 혈당 수치는 떨림, 발한, 빠른 심장 박동을 유발한다. 그러나 자율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 이러한 신호를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다.
  • 발가락, 다리 절단 : 신경 손상은 발의 감각을 잃게 할 수 있다. 작은 상처라도 모르는 사이에 염증이나 궤양으로 변할 수 있다. 심한 경우 감염이 뼈로 퍼지거나 조직이 사망할 수 있다. 발 또는 다리의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
  • 요로 감염 및 요실금 : 방광을 조절하는 신경이 손상되면 방광을 완전히 비울 수 없다. 박테리아는 방광과 신장에 축적되어 요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신경 손상은 배뇨가 필요할 때 느끼는 감각에 영향을 미치거나 소변을 배출하는 근육을 조절하여 요실금을 유발할 수 있다.
  • 급격한 혈압 저하 : 혈류를 조절하는 신경이 손상되는 경우 혈압 조절 능력이 사라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기립성 저혈압 등으로 현기증과 실신을 유발할 수 있다.
  • 소화 문제 : 신경 손상이 소화관과 연관되면 변비, 설사가 나타날 수 있다. 당뇨병과 관련된 신경 손상은 위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 
  • 성기능 장애 : 자율 신경병증은 성기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남성은 발기부전, 여성은 윤활과 각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 발한 : 땀샘이 작동하는 방식을 방해하고 신체가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진단

  • 필라멘트 테스트 : 부드러운 나일론 섬유를 피부 부위에 문질러 촉각에 대한 민감도를 테스트한다.
  • 감각 테스트 : 신경이 진동과 온도 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알아보는 데 사용된다.
  • 신경 전도 검사 : 팔다리의 신경이 전기 신호를 얼마나 빨리 전달하는지 측정한다. 수근관 증후군 진단에 자주 사용된다.
  • 근전도 검사 : 근육의 상태를 알기 위해 전기적 활성 상태를 검사한다.
  • 자율 검사 : 자세를 바꾸는 동안 혈압이 어떻게 변하는지, 정상적으로 땀을 흘리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

 

 

□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

혈당을 목표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신경 손상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 중요한 부분이다. 혈당 관리를 잘하면 증상의 일부를 개선할 수도 있다. 연령, 당뇨병을 앓은 기간,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포함한 요소를 기반으로 목표 범위를 정한다.

당뇨병이 있는 젊은 사람들에게는 약간 낮은 혈당 수치를, 저혈당 합병증 위험이 높은 노인에게는 약간 높은 혈당 수치를 권장한다.

- 통증 완화

당뇨병과 관련된 신경통에는 많은 처방약이 있지만 모든 사람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 항경련제 : 발작 장애(간질)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일부 약물은 신경통을 완화하는 데 사용된다. 부작용은 졸음, 현기증, 부기 등이 있다.
  • 항우울제 : 일부 항우울제는 우울하지 않더라도 신경통을 완화시킨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경증에서 중증도의 신경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아미트립틸린, 데시프라민, 이미프라민 등이 포함되며 부작용은 구강 건조 및 졸음 등이 있다.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는 신경통에 도움이 딜 수 있고 부작용이 적은 항우울제이다.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메스꺼움, 졸음, 현기증, 식욕 감소, 변비 등이 있다.

- 합병증 관리

  • 요로 문제 : 일부 약물은 방광 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약물 중단 또는 변경을 권장할 수 있다. 방광 부위에 부드러운 압력을 가하면서 정시 배뇨 등 규칙적으로 배뇨하면 일부 방광 문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소화 문제 : 위 마비의 경미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적은 양을 먹고 자주 먹는 것을 제안할 것이다. 식단 변화와 약물은 위 마비, 설사, 변비, 메스꺼움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 기립성 저혈압 : 술을 피하고, 물을 많이 마시고 자세를 자주 바꾸는 등 간단한 생활 습관의 변화로 시작한다. 침대 머리 부분을 15~25cm 올린 상태로 자는 것이 혈압 변동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 성기능 장애 : 기계적 진공 장치는 음경으로 가는 혈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성은 질 윤활제로 완화될 수 있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7가지 증상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의 7가지 증상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이란 당뇨병성 말초신경 병증은 장기간의 고혈당으로 인해 신경 손상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당뇨병 환자의 60~70가 신경병증을 앓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