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삼차 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삼차 신경통은 얼굴에서 뇌로 감각을 전달하는 삼차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통증 상태이다. 삼차 신경통이 있는 경우 양치질, 화장 같은 가벼운 얼굴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가장 고통스러운 통증 중 하나이며, 얼굴 아래, 턱, 코, 귀, 눈, 입술 주위 등에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자극 반응성 또는 자극으로 나뉜다.
- 자극 반응성 : 외부 자극이 신경계의 특정 통증 수용체를 유발할 때 발생한다.(화상으로 인한 통증 등)
- 비자극 반응성 : 신경 손상이나 신경계의 결함으로 발생한다. 신경 자체가 뇌에 통증 신호를 보내고 있다.
신경통은 자극 무반응성 통증의 일종이고 삼차 신경통도 얼굴의 삼차신경 또는 제5 뇌신경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 무반응성 통증이다.
처음에는 짧고 약한 통증을 느낀다. 삼차 신경통이 더 진행되면 더 자주 그리고 더 타는 듯 한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얼굴 한쪽에서 몇 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2배 정도 흔하며 50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발생할 위험이 크다.
치료 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삼차 신경통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약물, 주사 또는 수술로 삼차 신경통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삼차 신경통의 증상
- 감전이 된듯한 심한 충격
- 지르는 듯한 통증
- 얼굴을 만지거나 씹거나, 말하거나 이를 닦는 행동에 의해 발생되는 통증
- 몇 초에서 몇 분동 안 지속되는 통증
- 며칠, 몇 주, 몇 달 동안 지속되는 통증 기간
- 작열감
- 뺨, 턱, 잇몸, 입술 등 삼차 신경과 연관된 부위의 통증
- 대부분 얼굴 한쪽에서 통증이 나타남
- 통증이 한 지점에 나타났다가 넓어 짐
- 시간이 지나면서 빈번해지고 강렬해짐
- 통증이 발생하기 전 얼굴의 따끔거림 또는 마비
- 통증 부위
- 안과 : 이마, 코, 눈
- 상악 : 아래 눈꺼풀, 코 옆, 볼, 잇몸, 입술, 윗니
- 하악 : 턱, 아랫니, 잇몸, 아랫입술
- 통증 발생 요인
- 면도
- 얼굴 만지기
- 먹기
- 음주
- 양치질
- 말하기
- 화장
- 바람
- 웃음
- 세수
□ 삼차 신경통의 원인
삼차 신경통의 주요 원인은 삼차 신경의 뿌리를 압박하는 혈관이다. 정상적인 혈관과 뇌 기저부에 있는 삼차 신경 사이에 접촉이 발생한다. 이 접촉은 신경에 압력을 가하고 오작동을 일으킨다. 이는 찌르는 듯한 통증 신호를 전달한다.
삼차 신경통은 노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다발성 경화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삼차 신경을 압박하는 종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뇌 병변이나 기타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수술 부상, 뇌졸중 또는 안면 외상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삼차 신경통의 치료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 치료로 시작한다. 대부분 약물 치료 후 추가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약물에 반응하지 않거나 불쾌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환자들에게는 수술을 선택할 수 있다.
- 약물 치료
- 항경련제 : 삼차 신경통에 카르바마제핀 등을 처방한다. 이 치료제가 효과적이며 다른 항경련제로는 옥스카르바제핀, 라모트리진, 페니토인 등이 있다. 클로나제팜, 가바펜틴 등의 약물도 포함된다.
사용 중인 항경련제가 효과를 잃기 시작하면 복용량을 늘리거나 다른 유형의 항경련제로 전환할 수 있다. 항경련제의 부작용으로는 현기증, 혼돈, 졸음, 메스꺼움 등이 나타난다. - 진경제(복부 경련 및 경련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물) : 티로프라미드 같은 근육 이완제는 단독으로 또는 카르바마제핀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부작용에는 혼란, 메스꺼움, 졸음 등이 발생한다.
- 보톡스 주사 : 보톡스 주사는 약물이 도움이 되지 않는 환자들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치료법이 널리 사용되기 전에 더 많은 연구가 수행돼야 한다.
- 수술 치료
- 미세혈관 감암 : 신경이 오작동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삼차 신경 뿌리와 접촉하고 있는 혈관을 재배치하거나 제거한다. 두개골의 작은 구멍을 통해 삼차 신경과 접촉하는 동맥을 신경과 떨어뜨리고 신경과 동맥 사이에 부드러운 쿠션을 놓는다.
미세혈관 감압은 대부분 통증을 성공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일부 재발할 수 있다. 청력 감소, 안면 쇠약, 안면 마비, 뇌졸중 등 기타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 - 감마 나이프 : 삼차 신경 뿌리에 집중된 방사선 량을 보낸다. 방사선을 이용하여 삼차 신경을 손상시켜 통증을 줄이거나 제거한다. 완화는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며 최대 한 달이 소요될 수 있다. 통증이 재발하면 재수술이 가능하다.
- 글리세롤 주사 : 두개골에 바늘을 삽입하여 삼차 신경절(삼차 신경이 갈라지는 곳)과 그 뿌리를 둘러싸고 있는 척수액의 멸균된 글리세롤을 주사한다. 이 절차는 삼차 신경을 손상시키고 통증 신호를 차단한다.
- 풍선 압박 술 : 튜브를 바늘 끝에 끼우고 삼차 신경이 있는 부위에 위시시킨다. 삼차 신경을 손상시키고 통증 신호를 차단할 수 있도록 풍선을 팽창시킨다. 풍선은 일정 기간 동안 통증을 성공적으로 조절한다.
- 무선주파수 열병변 시술 : 통증과 관련된 신경 섬유를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진정제를 투여한 후 속이 빈 바늘을 삼차 신경의 일부 부위에 가져다 놓는다. 이후 환자를 깨운 후 전극을 삽입하고 약한 전류를 보낸다. 어디서 따끔거림을 느끼는지 확인 후 진정 상태로 돌아간다. 그런 다음 전극으로 신경 섬유를 손상시킨다. 일반적으로 시술 후 일시적인 안면 마비를 유발하고, 3~4년 후 통증이 다시 나타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