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관절염이란
관절염은 하나 이상의 관절이 붓고 압통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관절염의 주요 증상은 관절 통증과 경직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악화된다. 관절염의 가장 흔한 유형은 골관절염과 류머티즘 관절염이다.
- 관절염의 유형
- 강직성 척추염
- 통풍
- 골관절염
- 건선성 관절염
- 반응성 관절염
- 류머티즘 관절염
- 패혈성 관절염
- 엄지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진단과 합병증
□ 강직성 척추염 강직성 척추염은 시간이 지나면서 척추의 일부 작은 뼈가 융합되는 염증성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등과 엉덩이에서 시작하여 관절에 만성 통증을 유발한다. 그리고 척추 뼈가
jhun1865.tistory.com
골관절염은 관절을 형성하는 뼈의 끝을 덮고 있는 조직인 연골을 분해한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면역 체계가 관절 내막부터 관절을 공격하는 질병이다.
혈액에 요산이 너무 많을 때 형성되는 요산 결정은 통풍을 유발할 수 있다. 건선이나 루푸스 등 감염이나 기저 질환은 다른 유형의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다.
관절염의 치료는 관절염의 유형에 따라 다르다. 치료의 주요 목표는 증상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 관절염의 원인
연골은 관절에 있는 단단하지만 유연한 조직이다. 움직일 때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을 보호한다. 이 연골 조직의 정상적인 양이 감소하면 관절염이 발생한다.
특정 음식이 관절염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식단과 영양은 관절염의 위험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증을 증가시키는 식품, 특히 동물성 식품 및 정제당이 많이 함유된 식단은 면역 체계 반응을 유발하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처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통풍은 퓨린이 많이 함유된 식단을 섭취하면 발생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요산으로 인해 발생하기 대문에 식단과 밀접하게 관련된 관절염 유형 중 하나이다. 해산물, 적포도주, 육류 등 고 퓨린 식품이 통풍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수준의 퓨린을 함유한 야채 및 기타 식물성 식품은 통풍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관절염의 주요 유형인 골관절염과 류머티즘 관절염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절을 손상시킨다.
- 골관절염
관절염의 가장 흔한 유형인 골관절염은 관절 연골의 마모, 손상과 관련 있다. 연골은 관절을 형성하는 뼈 끝에 있는 단단하고 매끄러운 조직이다. 연골로 인해 뼈의 끝 부분을 완축하고 거의 마찰이 없는 관절 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연골이 손상되면 뼈와 뼈가 부딪혀 갈리게 되며 통증과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뼈의 마모는 수년에 걸쳐 발생하며 관절 부상이나 감염으로 가속화될 수 있다. 관절의 연골이 심하게 손상되면 관절 내막에 염증이 생기고 부어오를 수 있다.
- 류머티즘 관절염
신체 면역 체계는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단단한 막인 관절낭의 내벽을 공격한다. 이 내벽에 염증이 생기고 부어오른다. 시간이 지나면서 관절 내의 연골과 뼈가 파괴된다.
- 관절염의 위험 요소
- 나이 : 나이가 들수록 관절염 발병 위험은 증가한다.
- 성별 : 대부분의 관절염은 여성에게 더 흔하다. 통풍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다.
- 유전적 요인 : 특정 유전자는 류머티즘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강직성 척추염 등 특정 관절염의 위험을 높인다.
- 비만 : 과체중은 무릎 골관절염의 발병과 진행에 모두 기여할 수 있다.
- 관절 부상 : 관절 손상은 해당 관절의 골관절염에 기여한다.
- 감염
- 직업 : 반복적으로 무릎을 굽히거나 쪼그려 앉는 자세를 취하는 특정 직업은 무릎 골관절염과 관련이 있다.
□ 관절염 증상
- 골관절염
골관절염은 관절의 마모로 인해 발생한다. 다른 사람보다 과로한 관절에 영향이 생긴다. 골관절염은 일부 관절에 영향을 미친다.
골관절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관절 통증
- 뻣뻣함
- 관절이 움직일 때 마찰, 딱딱거리는 소리
- 류머티즘 관절염
류머티즘 관절염은 전신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신체 양쪽 관절에 동일하게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손목, 손가락, 무릎, 발, 발목의 관절이 영향을 받는다. 심한 류머티즘 관절염은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관절 기형을 유발할 수 있다.
류머티즘 관절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1시간 이상 지속되는 아침 강직
- 통증(양쪽 같은 관절)
- 변형, 관절의 운동 범위 상실
- 흉막염으로 인한 호흡 시 흉통
- 쇼그렌 증후군이 있는 경우 눈과 입이 건조함
- 눈의 작열감, 가려움, 분비물
- 피부 아래 결절
- 손과 발의 무감각 또는 타는 느낌
- 수면 장애
- 피로감
- 식욕 부진
- 골관절염
- 관절의 통증, 뻣뻣함
- 운동이나 관절에 압력을 가하면 통증이 악화됨
- 아침 강직
- 수면 장애를 일으키는 통증
골관절염은 관절의 마모로 발생한다. 일부 사람들은 X-Ray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마모가 발생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릎, 어깨, 손목 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 소아 관절염
- 관절이 부어오르거나 열감이 느껴짐
- 뻣뻣하고 움직임이 제한됨
- 절뚝거림
- 갑작스러운 고열
- 사지 발진
- 창백한 피부, 부은 림프선과 같은 전신 증상
청소년 류머티즘 관절염은 포도막염, 홍채 모양체염, 홍채염 등 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패혈성 관절염
- 열
- 움직일수록 심해지는 관절 통증
- 관절 부종
- 감염된 관절로 인해 사지를 움직이기 힘듦
- 통풍
- 엄지발가락, 무릎, 발목 등 관절의 통증과 부기
- 욱신거리고 짓누르는 등 극심한 통증
- 붉고 부어오르며, 열감이 느껴짐
- 발열
통풍을 앓은 사람은 통풍 결절이 생길 수 있다. 통풍 결절은 관절 주위, 손가락 끝 등에 뭉치는 덩어리이다. 여러 개의 작은 돌기가 생기거나 흰색 덩어리가 생길 수 있다. 이는 피부의 변형(늘어남)을 유발할 수 있다.
통풍 결절은 종종 피부를 뚫고 배수된다. 피부를 뚫은 통풍 결절은 감염이나 골수염을 유발할 수 있다. 통풍 결절을 배출하기 위해 긴급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통풍 증상 통풍 식이요법 저퓨린 식품
■ 통풍이란? 통풍은 요산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되면 발생한다. 다른 사람이 스쳐 지나가면서 일으킨 바람에도 아프다고 한다. 요산은 우리가 먹은 음식이 소화된 후
jhun1865.tistory.com
□ 관절염의 치료
- 약물 치료
관절염의 치료는 증상 완화와 관절 기능 개선에 중점을 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절염 치료제는 다음과 같다.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을 줄여준다. 강한 비스테로이드성 염증제는 위장을 자극할 수 있으며 심장마비, 뇌졸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NSAID는 크림이나 젤로도 제공된다.
- 반대 자극제 : 멘솔이나 캡사이신이 포함되어 있는 연고를 통증이 있는 피부에 바르면 관절 자체의 통증 신호 전달을 방해할 수 있다.
- 스테로이드 : 프레드니손,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은 염증과 통증을 줄이고 관절 손상을 늦춘다. 부작용으로는 뼈가 얇아지고 체중 증가, 당뇨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항류머티즘 약물 : 류머티즘 관절염의 진행을 늦추고 관절과 기타 조직을 영구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감염과 관련된 부작용이 발생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종류와 기능, 사용 시 주의사항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통증을 완화하거나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아스피린과 이부프로펜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이다. 면역 체
jhun1865.tistory.com
- 수술
- 관절 수술 : 관절 표면을 부드럽게 하거나 재 정렬하여 통증을 줄이고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관절에 작은 절개를 통해 관절경으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 인공관절 치환술 :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 관절로 교체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교체되는 관절은 엉덩이와 무릎이다.
- 관절병합술 : 손목, 발목, 손가락 등 작은 관절에 자주 시행한다. 피부를 절개하고 관절에서 손상된 연골을 모두 긁어낸다. 이렇게 하면 뼈가 융합된다. 수술 후에는 운동 범위가 손실되고 관절이 뻣뻣해지며, 물리치료 등 추가 치료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