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변비(CONSTIPATION)는 가장 흔한 소화 문제 중 하나이다. 딱딱하고 건조한 배변을 보거나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3번 미만인 경우 변비로 정의된다.
□ 변비의 증상
사람마다 배변 습관이 다르다. 어떤 사람은 하루에 두세 번씩 화장실을 가고 어떤 사람은 일주일에 세 번 간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변비일 수 있다.
-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3번 미만
- 울퉁불퉁하거나 딱딱한 변, 건조한 변을 봄
- 배변 중 통증
- 배변 후 잔변감
다음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 직장 출혈
- 대변에 피바 묻음
- 지속적인 복통
- 허리 통증
- 가스가 찬 느낌
- 구토
- 열
- 알 수 없는 체중 감소
대장암이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 심각한 상태를 배제하기 위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 변비의 원인
결장의 주요 임무는 소화 기관을 통과할 때 음식물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대변이 된다. 결장의 근육은 직장을 통해 배설물을 배출한다. 대변이 결장에 오래 남아 있으면 딱딱해지고 배변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잘못된 식단은 종종 변비를 유발한다. 변을 부드럽게 유지하려면 식이섬유와 적절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은 일반적으로 식물성이다. 섬유질은 용해성 및 불용성 형태이다. 수용성 섬유소는 물에 용해되어 소화 기관을 통과할 때 부드러운 젤 같은 물질을 생성한다.
불용성 섬유는 소화 기관을 통과할 때 구조를 유지한다. 두 가지 형태의 섬유소는 대변과 결합하여 무게와 크기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부드럽게 한다. 이는 직장을 쉽게 통과하게 만든다.
스트레스, 일상의 변화, 결장의 근육 수축을 늦추거나, 화장실에 가고 싶은 충동을 지연시키는 것도 변비로 이어질 수 있다. 변비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저 섬유 식이, 특히 육류, 우유가 많은 식이
- 탈수
- 낮은 운동 수준
- 배변 충동 지연
- 여행 등 일상의 변화
- 특정 제산제, 진통제, 이뇨제 등의 약물
- 임신
- 노년기(60세 이상)
- 근본적인 건강 문제
다음과 같은 건강 상태는 변비를 유발할 수 있다.
- 뇌졸중, 파킨슨병, 당뇨병과 같은 특정 상태
- 장 폐쇄, 과민성 대장 증후군, 게실증 등 결장 또는 직장 묹
- 완화제의 남용 또는 오용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포함한 호르몬 문제
□ 변비의 진단
변비가 지속되거나 우려되는 경우 진찰을 받을 수 있다. 의사는 증상, 병력, 약물, 기저 상태에 대해 질문할 수 있다. 직장 검사를 포함한 신체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혈구 수, 전해질 및 갑상선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도 시행할 수 있다.
증상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권장할 수 있다. 검사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1. 표지 검사
음식이 결장을 통해 어떻게 이동하는지 검사한다. 이 검사를 위해 X-ray에 표시되는 알약을 삼킨다. 음식이 결장을 통해 어떻게 이동하고 장 근육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볼 수 있도록 며칠 동안 복부 X-ray를 촬영한다. 검사 중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을 수 있다.
CT, PET, PET/CT 검사 목적 및 차이점
□ CT 검사란(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r Tomography의 약자로 X-선을 투과시켜 그 흡수 차이를 컴퓨터로 재구성해 인체의 단면 영상을 얻거나 3차원 입체 영상을 얻는 영상 진단 방법이다. CT는 컴퓨터
jhun1865.tistory.com
2. 항문직장 압력계
항문직장 압력계는 괄약근의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검사를 위해 풍선이 달린 튜브를 항문에 삽입한다. 풍선을 부풀려 천천히 빼낸다. 이 검사를 통해 괄약근의 근력을 측정하고 근육이 제대로 수축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바륨 관장 X-ray
바륨 관장 X선은 결장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검사이다. 검사는 윤활된 튜브를 통해 바륨을 직장에 바른다. 바륨은 직장과 결장 부위를 표시한다. 이를 통해 X-ray에서 더 잘 살펴볼 수 있다.
4. 대장 내시경
대장 내시경 검사는 내시경을 통해 대장을 검사한다. 카메라와 광원이 장착된 튜브이다. 수면 내시경은 진정제와 진통제를 투여하므로 검사를 기억하지 못한다. 대장내시경을 검사하기 위해 1~3일 액체만 섭취한다. 장을 청소하기 위해 검사 전날 완화제나 관장을 할 수 있다.
□ 변비의 완화 및 치료
식단을 변경하고 신체 활동을 높이는 것이 변비를 치료하고 예방하는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이다.
- 매일 1.5L의 물을 마신다.
- 탈수를 유발하는 알코올과 카페인이 든 음료의 섭취를 제한한다.
- 생과일과 채소, 통곡물, 콩, 자두 등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식단에 추가한다.
- 육류, 우유, 치즈, 가공 식품 등 섬유질이 낮은 식품을 줄인다.
- 매주 1시간 30분 정도의 운동을 한다. 하루 30분, 주당 5회 이상을 목표로 한다.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 배변 욕구가 느껴지면 지체하지 않고 바로 간다. 오래 지체할수록 변이 단단해질 수 있다.
- 배변할 때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무릎을 들어 올린다.
- 화장실을 사용할 때 충분한 시간을 갖고 근육을 이완시킨다.
- 완화제를 조금씩 사용한다. 전문가와 상의 없이 완화제를 2주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의존성을 키울 수 있다.
- 일반의약품
가정 요법이 효과가 없으면 일반 의약품 완하제가 필요하다.
- 섬유 보충제
- 마그네시아 우유 등 삼투 작용제
- 대변 연화제
- 윤활제
- 각성제
- 처방약
여전히 변비 문제가 있는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약물을 처방받을 수 있다.
- 루비프로스톤(장의 체액 수치 증가)
- 리나클로타이드, 플레칸나타이드 : 장기간 변비 또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의 배변을 규칙적으로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 프루칼로프라이드 : 결장을 따라 대변을 이동시킨다.
□ 변비 예방
변비 예방 요령은 변비 완화 요령과 비슷하다.
- 과일, 채소, 통곡물을 많이 섭취한다.
-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먹는다.
- 식단에 자두나 밀기울을 포함시킨다.
- 물을 충분히 마신다.
- 알코올, 카페인은 탈수를 유발하므로 자제한다.
-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 프로바이오틱스를 식단에 추가한다.(요구르트, 케피어 등)
- 매일 같은 시간에 배변한다.
일부 연구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만성 변비가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섬유질 보충제를 추가하는 경우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한다. 유체는 섬유가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는데 도움이 된다.
▷ 마치며
변비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혹은 특정 약물을 사용할 때, 식단에 섬유질이 많지 않은 경우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변비는 경증이며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쉽게 치료된다.
다른 장 변화와 만성 변비를 겪고 있다면 병원에서 진찰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