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성병으로 질, 구강 또는 항문 성교를 통해 전염된다. 질 편모충이라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며, 치료가 가능하다.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임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HIV에 감염되고 전염될 위험성을 높인다.

□ 트리코모나스의 원인과 확산

질 편모충은 성관계 중 전염된다. 구강성교, 항문성교, 질 성교 또는 성기를 만지는 것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여성의 경우에는 생식기 하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가장 크다. 남성의 경우에는 소변이 통과하는 요도에 영향을 미친다.

항문, 손, 입과 같은 부위는 일반적으로 감염되지 않는다.

다음은 트리코모나스에 걸릴 위험이 높은 유형의 사람들이다.

  • 여성
  • 둘 이상의 성 파트너가 있는 사람들
  • 트리코모나스 또는 기타 성병에 걸렸던 사람들
  • 안전하지 못한 관계를 가지는 사람들

성적인 관계를 가지는 사람이 많을수록 트리코모나스에 걸릴 위험이 증가한다.

□ 트리코모나스 증상

증상은 질 편모충에 노출된 후 5~28일 후에 나타난다.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여성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거품이 많고 악취가 나는 질 분비물
  • 질 분비물에 피가 섞임
  • 성교 중 또는 배뇨 중 불편감
  • 사타구니 붓기
  • 잦은 배뇨
  • 하복부 통증

남성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요도 분비물
  • 음경 가려움증
  • 사정 또는 배뇨 후 작열감
  • 잦은 배뇨
  • 배뇨 시 통증

□ 트리코모나스 합병증

- 임신 중 문제

  • 조산
  • 조기에 양수 터짐
  • 저체중아 출산
  • 불임

종종 분만 중에 신생아에게 전염시킬 수 있지만 드물다. 임신 중에는 메트로니다졸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 기타 문제

트리코모나스는 생식기 감염의 위험을 높인다. 트리코모나스와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인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자궁경부암 증상 및 예방 방법, 자주하는 질문

□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체 자궁의 약 75%를 차지하는 몸 부분(체부), 질로 연결되는 목 부분(경부)이 있다.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목 부분인 자궁경부에서 발생하는

jhun1865.tistory.com

 

- HIV

트리코모나스는 여성에게 HIV 및 기타 성병에 걸릴 위험을 증가시킨다. 위험이 올라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염증
  • 면역 반응 감소
  • 질내 균무리 균형 변화

이러한 요인은 면역 체계의 보호를 저하시킬 수 있다.

□ 트리코모나스 검사 및 진단

  • 골반 내진
  • 질 또는 음경 분비물 샘플 채취

- 검사를 위한 준비 사항

여성의 경우 월경이 없을 것 같은 시간에 진료를 받는다. 예약 전에 외음부에 데오도란트를 사용하는 것은 냄새를 가리고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24~48 시간 전에 성교를 하거나 탐폰 등 어떤 물체도 질에 삽입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트리코모나스가 HIV에 감염된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HIV에 걸린 사람들은 적어도 1년에 1번 트리코모나스 검사를 받아야 한다.

- 결과가 양성인 경우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면 치료를 시작하고 다음을 수행한다.

  • 검사가 필요하므로 성 파트너에게 알린다.
  • 감염이 재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전체 치료 과정을 완료한다.
  •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성적 접촉을 피한다.
  • 항생제 치료를 마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면 추가적인 진찰을 받는다.

의사는 다른 성병 검사를 권할 수도 있다.

□ 트리코모나스 치료

트리코모나스는 임신 기간을 포함하여 남성과 여성 모두 쉽게 치료가 가능하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경구 항생제 1회 복용이 포함된다. 또한 질 좌약이나 크림을 처방하여 국소 도포할 수 있다.

기생충을 죽이는 항생제에는 메트로니다졸과 티니다졸이 있다. 메트로니다졸을 복용하는 동안 술을 마시면 안 된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복부 경련, 메스꺼움, 두통, 홍조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를 받은 후에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다시 진찰을 받으러 가야 한다.

- 치료 후 모유 수유

모유 수유 중에는 티니다졸을 복용해서는 안된다. 메트로니다졸은 안전하지만, 복용 후 12~24시간 후에 모유 수유를 하는 것이 좋다.

□ 트리코모나스 예방

감염이나 재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성 파트너도 같이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감염 또는 재감염의 위험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성 파트너 수 제한
  • 트리코모나스 치료 후 7~10일 동안 성관계 안 하기
  • 질내 건강한 박테리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질 세척하지 않기
  •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피하기
  • 성관계 중 보호를 위해 콘돔 사용

콘돔은 감염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지만, 기생충이 덮지 않는 신체 부위를 통해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다.

증상이 있거나 질병에 노출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