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요약
칼슘 스캔은 관상동맥 질환의 유무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칼슘 수치가 높으면 죽상 동맥 경화증이 있는 것이며, 생활 습관 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스타틴 복용을 시작한 이후 칼슘 스캔을 해석하는 것이 바뀔 수 있다. 칼슘 수치가 상승하면 관상동맥 질환이 악화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스타틴 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일 수 있다.
관상동맥 질환 위험이 있는 경우 칼슘 검사에 대해 의사와 상담하고 왜 이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좋다. 그러나 스타틴 복용 후 칼슘 검사에서 칼슘 수치가 높아지면 스타틴 효과가 있다는 의미일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라.
목차
1. 칼슘 점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2. 스타틴이 처방되는 이유
3. 스타틴과 칼슘 점수
의사는 칼슘 점수(calcium scroe)를 이용하여 스타틴 치료를 이어갈지 여부를 결정하기도 한다. 스타틴은 고콜레스테롤을 치료하고 심장마비를 유발하는 관상동맥 질환을 예방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스타틴 치료로 칼슘 점수가 점점 증가한다. 이는 심장 전문의들 사이에서 논란과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타틴을 복용하는 이유와 스타틴과 칼슘 점수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이 점수가 오르는 것이 실제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하는 몇 가지 증거가 있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칼슘 점수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칼슘 점수가 0점이라는 것은 확인 가능한 질병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10년 이내에 심장마비, 뇌졸중 또는 관련 사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낮다는 의미이다. 이 점수를 바탕으로 스타틴 치료를 평가할 수 있다.
- 1~99 : 경미한 질환
- 100~399 : 중등도 질환
- 400 이상 : 중증 질환
- 스타틴이 처방되는 이유
리피토와 같은 스타틴 계열 약물은 콜레스테롤 수치뿐만 아니라 죽상 동맥 경화증으로 인해 동맥 플라크가 쌓이는 것을 치료하는 데도 사용된다. 플라크는 동맥을 부분적으로 막고 협심증이나 파행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만큼 커질 수 있다.
플라크의 진짜 문제는 갑자기 파열되어 동맥이 폐색(막힘)되어 심장마비나 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플라크는 지질, 염증 세포, 섬유 세포 및 칼슘을 포함한 여러 물질의 침전물이다. 심장 칼슘 스캔을 통해 검출되는 것은 죽상 경화성 플라크의 칼슘으로, 칼슘 점수가 높을수록 죽상 경화증이 더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스타틴과 칼슘 점수
여러 연구에 따르면 죽상동맥 경화증 환자를 스타틴으로 치료하면 칼슘 점수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이 점수가 높아지는 것은 애초에 스타틴으로 치료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다.
2015년 미국 심장 학회지에 이러한 칼슘 증가가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가 발표되었다. 스타틴 치료를 받은 환자의 죽상 경화성 플라크의 크기와 구성을 평가하기 위해 혈관 내 초음파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두 가지 사실을 발견했다.
- 고용량 스타틴 요법은 플라크를 축소한다.
- 플라크가 줄어드는 동안 플라크 구성이 변화했다.
스타틴 치료 후 플라크 내 지질 침전물의 양은 감소하고 섬유화 세포와 칼슘의 양은 증가했다. 이러한 변화는 플라크가 갑작스럽게 파열되는 경향을 줄일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 발견이 스타틴 요법이 관상동맥 질환 환자의 심장마비 위험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스타틴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뿐만 아니라 기존 플라크를 변화시켜 덜 위험하게 만든다. 이 과정에서 플라크가 더 석회화되어 칼슘 점수가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스타틴 치료로 칼슘 점수가 높아지는 것은 치료가 성공적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