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안면 마비란?
안면 마비는 얼굴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 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안면 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 근육의 움직임이 감소하여 양쪽이 비대칭이 된다. 뇌의 외상, 출혈, 감염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중추 신경 마비는 양측성의 구순, 비근, 안면 마비 증상을 유발한다. 말초신경 마비는 편측 저작 곤란 증삭을 유발한다.
특발성 안면 마비(벨 마비)는 특별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를 뜻한다. 벨 마비는 영국 의사인 찰스 벨의 이름을 딴 진단명이다. 안면 마비 중 가장 흔하기 때문에 널리 쓰이는 의학 용어다.
특정 원인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원인에 맞춰 치료를 진행한다. 램지 헌트 증후군이 있다면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안면에 대상포진과 함께 마비가 발생한다. 교통사고, 추락 등 머리에 충격을 받아 머리뼈 골절과 더불어 마비가 생기기도 한다. 뇌졸중, 뇌종양 같은 뇌신경 질환으로 인해 마비가 생기기도 한다. 드물게 급성 중이염이나 만성 중이염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생기기도 한다.
안면 마비의 원인에 대해서 여러 가지 논란이 있다. 임상적으로 몸이 피로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거나, 신경을 쓴 후, 찬바람을 쏘인 후 안면 마비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동맥 부종 등으로 인한 신경 압박, 추위로 인한 면역학적 염증, 정신적 충격이나 감정 불안이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혈압 환자에게서는 4~5배 많이 발생한다.
□ 안면 마비 증상
몇 시간 혹은 며칠에 걸쳐 갑자기 발생한다. 완전 마비(70%)와 부분 마비(30%)로 나타난다. 한쪽 눈이 잘 감기지 않고, 한쪽 이마의 주름이 적어지며, 한쪽 입꼬리를 올리기 힘들어진다. 한쪽 얼굴이 덜 움직이거나 안 움직이기 때문에 얼굴을 움직이면 얼굴이 일그러지거나 한쪽으로 돌아간 것처럼 보인다. 음식물을 먹을 때 마비된 쪽의 입가에서 흘리거나 삼키지 못하고 입 안에 남게 된다. 볼을 부풀게 하거나 양치하고 입을 헹굴 때 공기나 물이 샌다. 침을 흘리고, 발음이 부정확해진다. 눈이 잘 감기지 않아 눈물이 흐르거나 뻑뻑해진다. 한쪽 혀의 맛이 둔해지기도 한다.
증상이 생긴 후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신경 손상이 경미한 안면 마비의 경우 60~70%가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증상이 생긴 후 10일 안에 증상이 나아지고, 6주 이내에 증상이 완전하게 회복된다. 그러나 환자가 신경 손상 정도를 임의로 판단하기는 어렵다. 또 초기에 안면 신경을 손상시키는 염증 반응이 안면 마비 발생 후 3~7일 사이 급속도로 악화되므로 안면마비 증상이 생기자마자 병원을 찾아 치료받는 것이 좋다.
□ 안면 마비 치료
원인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진다. 뇌신경 질환의 의한 마비라면 추가적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머리에 충격을 받아 발생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중이염의 합병증으로 발생하였다면 안면 마비 치료와 중이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특별한 원인이 없는 벨 마비의 경우 약물과 전기 자극 등의 물리치료를 병행하며 몇 개월 간 경과를 지켜본다. 얼굴이 완전히 마비된 경우 수술을 하기도 한다. 벨 마비 환자의 80% 이상이 약물 투여와 관찰만으로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일부 환자는 어느 정도 마비가 남기도 한다. 경과 관찰 중 눈물 부족 때문에 눈의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약을 사용하기도 한다.
대상포진이 의해 발생하는 램지 헌트 증후군의 경우 항바이러스 약물과 진통제를 투여한다. 초기 집중 치료를 잘 받으면 마비가 심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눈에 안대를 착용해 눈을 보호하고, 마비된 부분에 물리치료를 한다. 약물 요법은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해 안면 신경 손상 부위의 염증을 치료한다. 발병 후 즉시, 또는 늦어도 4일 안에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발병 후 2~4일 이내에 안면 신경 감압술을 시행할 수 있다. 수술 후유증으로 안면 신경이 절단된 경우 안면 근육이 심하게 약해질 수 있지만 대부분 결과가 좋아진다. 뇌종양이나 침샘의 악성 종양 제거 후 마비가 발생한 경우 손상된 신경을 복구하거나 다른 신경을 이어 주기도 하며, 마비가 오래된 경우 다른 곳의 근육을 전이시켜 얼굴 움직임을 복구시켜 준다.
벨 마비(안면마비)의 증상과 치료 방법
□ 벨 마비(Bell's palsy) 벨 마비(안면 마비)는 안면 근육의 갑작스러운 약화를 말한다. 약화에 의해 얼굴은 절반이 처진 것처럼 보인다. 한쪽 입꼬리만 올라가고, 눈이 감기지 않는다. 증상은 일시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