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만성 외상성 뇌병증
만성 외상성 뇌병증은 반복적인 두부 손상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뇌세포가 파괴되는 상태이다. 두부 손상에는 뇌진탕도 포함된다. 1920년대의 복싱 선수에게 확인되었던 권투선수 치매는 만성 외상성 뇌병증으로 보인다. 일부 은퇴한 프로 및 대학 미식축구 선수들에게서 발생한다. 이 병증은 전투 중 폭발로 인한 두부 손상(폭발 손상)을 경험한 군인들에게서도 발생한다.
반복적인 두부 손상을 경험한 사람에게서만 만성 외상성 뇌병증이 발생하는 이유와 장애를 유발하는데 필요한 손상 횟수, 힘의 정도는 밝혀지지 않았다. 경미한 수준이더라도 뇌진탕을 여러 번 경험한 선수의 약 3% 정도 만성 외상성 뇌병증이 발생한다.
□ 증상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기분 변화 : 우울하고 짜증을 내거나 절망감을 느낀다. 경우에 따라 자살 생각으로 이어진다.
- 행동 변화 : 충동적으로 변하고 공격적으로 행동한다. 화를 쉽게 낸다.
- 정신 기능 변화 : 잘 잊어버리거나 계획, 체계화하는 것을 어려워한다. 치매가 발생할 수 있다.
- 근육 문제 : 천천히 움직이고 신체 각 기관의 협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말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조음장애)
증상은 노년기에 접어들 때까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환자에게 젊은 성인기에 경미한 증상이 나타난다. 이 경우 노년기에 더욱 심해진다.
- 기타 증상 -
- 우울증
- 짜증
- 자살 욕구
- 공격적이고 쉽게 화를 냄
- 치매
- 계획을 짜거나 정리하는 것이 어려움
- 어설퍼짐
- 명확하게 말하지 못함
□ 진단과 치료
의사는 환자가 여러 번 두부 손상을 경험했을 때, 해당 장애의 전형적인 증상을 보일 때 만성 외상성 병증을 의심한다. 만성 외상성 뇌병증을 의심하는 경우 CT촬영, MRI 등 뇌 영상 검사를 실시한다.
영상 검사를 포함한 어떤 검사도 만성 외상성 뇌병증을 확진할 수 없다. 만성 외상성 뇌병증은 사망 후 부검 시 뇌 조직 검체를 떼어내 현미경으로 검사하는 경우에만 확진할 수 있다. 다만, 영상 검사는 환자에게 비슷한 증상을 가진 다른 장애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만성 외상성 뇌병증에 대한 특정한 치료법이 없다. 다만, 만성 외상성 뇌병증이 의심되는 환자들에게 다음 방법들이 도움이 된다.
- 규칙적이며 일상적인 활동
- 안전하고 체계적인 환경에서 생활
- 주변 환경 또는 간병인이 바뀌는 경우 환자에게 명확하게 설명
- 상담
- 증상에 도움이 되는 약물 처방
1. 만성 외상성 뇌병증의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 뇌진탕을 경험한 사람은 일정 기간 동안 휴식을 취하고 운동 활동을 삼간다.
2. 만성 외상성 뇌병증 환자들은 심리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기분 변화에 대처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특히 자살 생각을 제어하기 위해 항우울제와 기분 안정제를 처방받을 수 있다.
3. 치매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환자는 가능한 많은 의학적, 재정적, 법적 결정을 내려야 한다. 이 결정에는 추가적인 의학적 결정을 내릴 수 없게 되었을 때 환자를 대신해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하는 것도 포함된다. 임종 시 어떤 유형의 치료를 원하는지에 대해서도 의사와 상의를 해야 한다. 결정을 내리기 전 미리 충분한 시간 여유를 갖고 모든 관계자들과 논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