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경막하 출혈

경막하 출혈(subdural hemorrhage)이란 머리 내부의 출혈 유형이다. 더 정확히는 두개골 내에서 발생하지만 실제 뇌조직 외부에서 발생한다. 뇌에는 두개골과 실제 뇌 조직 사이에 세 개의 막이 있다. 이 수막은 뇌를 덮고 보호하는 용도이다.

경막하 출혈이 있는 경우 혈관이 찢어진 경험이 있으며 혈액이 혈관에서 경막층 아래 공간으로 새어 나온다. 이 공간은 경막 아래에 있기 때문에 경막하 공간이라고 한다. 경막하 혈종의 다른 이름은 두개 내 혈종이다.

경막하 출혈은 외상성 뇌 손상의 일종이며 급성 경막하 출혈, 만성 경막하 출혈로 나뉜다.

 

 

- 급성 경막하 출혈

심각한 뇌 손상을 입으면 혈액으로 가득 차 생명을 위협하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경막하 혈종의 가장 위험한 유형이다. 급성 경막하 출혈은 빠르게 형성되고 증상이 즉시 나타난다. 혈액이 고이는 동안 뇌에 가해지는 압력이 빠르게 증가한다. 빨리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의식을 잃거나 마비, 사망할 수 있다. 급성 경막하 출혈이 발생한 환자들의 약 50~90%가 합병증으로 사망한다.

급성 경막하 출혈은 교통사고, 두부 타격, 추락 또는 낙상에 의해 발생한다.

- 만성 경막하 출혈

만성 경막하 출혈은 경미하거나 반복적인 두부 손상에 의해 발생한다. 이 유형은 반복적으로 넘어져 머리를 부딪히는 노인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서 뇌가 수축하는 것 때문에 노인에게 잘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뇌가 수축하는 것은 두개골에 여분의 공간을 만들어 머리 부상 시 정맥이 더 쉽게 손상되도록 한다. 만성 경막하 출혈의 증상은 발생 즉시 나타나지 않으며 몇 주 이후에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지연되어 환자가 어떻게 다쳤는지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변화가 미묘하고 천천히 일어나 주변 사람들이 증상을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만성 경막하 출혈이 급성 경막하 출혈보다 치료하기 쉽다.

 

 

□ 경막하 출혈의 위험 요인

  • 노인
  • 운동선수 : 축구 선수 등 머리에 충격이 있을 수 있는 사람들은 위험이 증가한다.
  • 혈액 희석제 복용 : 혈액 희석제는 응고 과정을 늦추거나 방지한다. 혈액이 응고되지 않으면 경미한 부상 후에도 출혈이 심각하고 오래 지속된다.
  • 혈우병 : 혈우병은 혈액이 응고되지 않는 유전성 출혈 장애다. 혈우병 환자는 부상 후 통제되지 않는 출혈의 위험이 크다.
  • 알코올 중독자 :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시간이 지나면서 간 손상을 일으킨다. 손상된 간은 혈액 응고를 돕는 단백질의 생산이 줄어든다.
  • 아기 : 아기는 머리를 외상에서 보호할 수 있는 목 근육이 없다. 아이를 흔들어 학대하면 경막하 출혈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유형을 흔들린 아이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 경막하 출혈의 증상

  • 두통
  • 혼란과 졸음
  • 메스꺼움, 구토
  • 어눌한 말과 시력 저하
  • 현기증
  • 균형 상실, 걷기 어려움
  • 기억 상실, 방향 감각 상실, 성격 변화(만성 경막하 출혈이 있는 노인)
  • 아이의 비대해진 머리(혈액이 모이면 부드러운 두개골이 커질 수 있다.)

외상성 뇌 손상과 많은 증상을 공유한다. 출혈이 계속되면서 뇌의 압력이 증가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악화되는 시점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마비
  • 발작
  • 호흡 곤란
  • 혼수상태

- 노인의 두부 손상 및 증상의 참고사항

기억 상실, 혼란, 성격 변화 등 노인의 경막하 출혈의 일부 증상은 치매로 오인될 수 있다. 노인이 머리를 부딪힌 것을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보호자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 경막하 출혈의 진단

우선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그리고 머리 부상에 대한 질문을 한다. 발생 시기, 발생 원인, 증상, 기타 의학적인 문제, 복용 중인 약물 검토, 기타 생활 습관에 관한 질문 등이 포함된다. 신경학적 검사에는 혈압 검사, 시력 검사, 균형 및 근력 검사, 반사 검사, 기억력 검사 등이 포함된다.

경막하 출혈이 의심되면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을 시행할 수 있다. 영상 검사를 통해 선명한 뇌 사진을 보고 출혈 부위와 출혈 양을 알 수 있다.

 

 

□ 경막하 출혈의 치료

경막하 출혈은 수술로 치료한다. 큰 경막하 출혈을 제거하기 위해 개두술이라는 외과적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급성 경막하 혈종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출혈을 제거하기 위해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혈액을 배출해 뇌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한다. 필요한 경우 수술 후 혈액이 계속 배수되도록 배수관을 며칠 동안 그대로 둔다.

개두술이 급성 경막하 출혈 환자에게 꼭 필요한 수술일 수 있다. 그러나 상당히 위험한 수술로 한 연구에서 수술받은 환자의 18%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했다.

천두술은 만성 경막하 출혈뿐만 아니라 1cm보다 작은 급성 혈종을 배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회복률은 다양하지만 환자의 89~90% 이상이 뇌 기능 개선을 경험한다.

종종 증상을 거의 유발하지 않으며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작은 경우도 있다. 이 때는 안정, 약물 치료, 관찰이 할 수 있는 모든 것 일수 있다. 신체는 몇 개월에 걸쳐 소량의 혈액을 흡수할 수 있다. 출혈을 모니터링하고 치유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영상 검사를 할 수 있다.

- 경막하 출혈의 합병증

경막하 출혈의 합병증은 부상 직후 또는 부상을 치료한 후 발생할 수 있다. 합병증의 정도는 뇌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항응고제(혈액 희석제)를 복용하는 사람은 합병증의 위험이 더 높다.

  • 뇌탈출증 : 증가된 압력이 뇌 조직을 밀어 정상 위치에서 이탈하게 만들 수 있다. 뇌탈출증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반복 출혈 : 회복 중인 노인은 다른 출혈의 위험이 높다. 
  • 발작
  • 영구적인 근육 약화 또는 마비

 


 

 

만성 외상성 뇌병증 진단과 치료

□ 만성 외상성 뇌병증 만성 외상성 뇌병증은 반복적인 두부 손상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뇌세포가 파괴되는 상태이다. 두부 손상에는 뇌진탕도 포함된다. 1920년대의 복싱 선수에게 확인되었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