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s Syndrome)

베르니케-코라스코프 증후군은 비타민 B1(티아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뇌 장애의 일종이다. 이 증후군은 사실 베르니케병과 코르사코프 증후군으로 나뉘어져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으로 묶였다. 일반적으로 베르니케 병의 증상이 먼저 발생한다. 베르니케 병은 베르니케 뇌병증으로도 불린다.

2021.05.30 - [분류 전체보기] - 베르니케 뇌병증 진단 및 치료 베르니케 뇌병증 예후 및 주의사항

 

베르니케 뇌병증 진단 및 치료 베르니케 뇌병증 예후 및 주의사항

□ 베르니케 뇌병증 베르니케 뇌병증은 비타민 B1(티아민)의 결핍이 원인이다. 티아민은 뇌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정제되지 않은 곡물, 씨앗, 콩류, 정육, 생선 등에 함유되어 있다. 성인의 하

jhun1865.tistory.com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의 원인

티아민은 뇌가 에너지로 사용하는 포도당을 대사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영양소이다. 티아민 결핍은 온도, 식욕, 감정, 성장 등을 조절하는 시상하부의 활동에 영향을 준다. 특히 신경계 및 심혈관계 세포에 큰 영향을 미친다.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의 가장 큰 원인은 단연코 알코올 중독이다. 알코올은 신체의 티아민 흡수를 억제하고 간에 저장된 티아민을 줄인다. 또한 티아민을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효소의 작용도 방해한다.

영양실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영양실조의 원인에는 기아, 섭식 장애(거식증 등), 입덧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암, 에이즈, 위장 장애, 신장 장애같은 만성 장애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 증상

티아민 결핍은 베르니케 병을 유발하며, 치료하지 않으면 코르사코프 증후군으로 이어진다. 베르니케 증후군은 세 가지 주요 증상이 나타난다. 정신 상태 변화(혼란 등), 수의운동을 할 수 없음, 눈 운동 이상이다.

베르니케 병과 관련된 혼란 및 방향 감각 상실은 몇 주에 걸쳐 발생한다. 환자는 혼수, 부주의, 졸음, 무관심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안구 이상은 복시, 안진, 안근 마비, 눈꺼풀 처짐 등이 있다.

베르니케 병 환자의 약 80~90%에서 코르사코프 증후군이 발생하며, 증상은 베르니케 병의 증상이 완화되기 시작하면서 발생한다.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기억 장애, 특히 단기 기억 상실이 특징이다.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는 장기 기억이 무작위로 상실될 수 있다. 또한 드물게 기억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가상의 사건을 만들 수 있다.

주의력과 사회적 행동은 상대적으로 보존된다. 영향을 받은 사람들은 정상처럼 보일 수 있고 적절한 대화를 이어갈 수 있다. 코르사코프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질병을 인식하지 못한다.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의 진단

베르니케-코르사프 증후군을 진단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 증후군을 앓는 환자는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워 한다. 이는 의사와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의사는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이 의심되면 알코올 중독과 영양 결핍을 먼저 의심하고 징후를 확한다.

- 알코올 중독 징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체크한다. 그리고 간 손상을 확인하기 위해 간 기능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간 손상은 알코올 중독의 일반적인 징후이다. 만성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간 손상은 간 효소 수치를 높일 수 있다. 만성 알코올 중독의 진단에는 다음의 신체 검사가 포함된다.

  • 심박수
  • 안구 운동
  • 반사 신경 반응
  • 혈압
  • 체온

- 영양 결핍의 징후

비타민 B1의 결핍을 알 수 있는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티아민 수치와 일반적인 영양 건강을 측정하는 혈액 검사가 포함될 수 있다.

  • 혈청 알부민 테스트 : 혈액 내 단백질인 알부민 수치를 측정한다. 낮은 수준의 알부민은 신장 또는 간 문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영양 결핍을 의미할 수 있다.
  • 혈청 비타민 B1 테스트 : 혈액 내 비타민 B1의 수치를 확인한다. 적혈구의 효소 활성을 시험할 수 있다. 적혈구의 낮은 효소 활성은 비타민 B1의 결핍을 나타낸다.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의 치료

치료는 즉시 시작되어야 하며, 신속한 치료는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중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치료는 베르니케 뇌병증의 증세를 교정할 수 있지만 회복은 대체로 불완전하다. 코르사코프 증후군은 해결되지 않는다. 베르니케 뇌병변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환자가 사망할 수 있다. 다만 선진국에서는 이 장애로 인한 사망 사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치료는 티아민을 즉각 투여하는 것이다. 티아민이 위장에서 흡수되지 않을 수 있으니 정맥으로 주사한다. 정신 상태 변화, 시력 이상, 운동 능력 상실은 티아민 투여로 개선된다. 병원에서 음식을 통해 영양분이 잘 흡수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티아민 투여의 부작용은 불면증, 발한, 기분 변화, 환각, 혼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환자에게 금주와 적절한 식이 요법이 권장된다. 마그네슘과 칼륨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티아민 외 키타 전해질을 보충해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