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세로토닌 증후군은 높은 수준의 세로토닌이 체내에 축적되도록 하는 약을 복용할 때 발생한다. 세로토닌은 신경 세포와 뇌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신경 전달 물질이다. 세로토닌은 다음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 소화
  • 혈액 순환
  • 체온 조절
  • 호흡

다른 종류의 처방약을 복용하다보면 몸에 세로토닌이 너무 많이 축적될 수 있다. 세로토닌이 과하면 떨림 및 설사 같은 경증 증상에서 근육 경직, 발열, 발작 등 중증의 증상을 유발한다. 심각한 세로토닌 증후군은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경미한 형테의 세로토닌 증후군은 증상을 유발하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세로토닌을 차단하는 약물을 복용한 후 하루 이내에 사라진다.

 

 

□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상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상은 일반적으로 새로운 약을 복용하거나 이미 복용하고 있는 약을 증량한 후 몇 시간 이내에 발생한다.

  • 동요 또는 안절부절 못함
  • 착란
  • 심박수 증가
  • 고혈압
  • 동공 확장
  • 근육 경련
  • 근육 경직
  • 발한
  • 설사
  • 두통
  • 떨림
  • 닭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징후는 다음과 같다.

  • 고열
  • 발작
  • 불규칙한 심장 박동
  • 의식을 잃음

 

 

□ 세로토닌 증후군 원인

몸에 세로토닌이 과도하게 축적되면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 뇌와 척수의 신경 세포는 주의력, 행동, 체온 조절을 하기 위해 세로토닌을 생성한다. 내장에 있는 신체의 신경 세포도 세로토닌을 생성한다. 소화, 혈액 순환, 호흡을 조절하는 역할도 한다.

세로토닌 수치를 높이는 한 가지 약물만 복용할 때 발생하는 경우도 잇지만 보통 특정 약물을 함께 복용할 때 자주 발생한다. 편두통 약물과 항우울제를 함께 복용, 아편 유사제와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 및 보조제는 다음과 같다.

- 항우울제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 삼환계 항우울제
  •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 특정 기타 항우울제

- 편두통 치료제(트립탄 종류)

  • 알모트립탄
  • 나라트립탄
  • 수마트립탄

- 항경련제

  • 카르바마제핀
  • 발프로산

- 아편 유사제

  • 트라마돌
  • 옥시코돈
  • 타펜타돌

- 불법 약물

  • LSD
  • 엑스터시
  • 코카인
  • 암페타민

- 허브 보충제

  • 세인트 존스 워트
  • 인삼

- 감기약(기침약)의 성분

  • 로비투신 DM
  • 델심
  • 덱스트로메트로판

 

 

□ 세로토닌 증후군의 진단 및 치료

단일 검사로는 세로토닌 증후군을 진단할 수 없다. 의사는 증상, 병력, 복용 중인 약물에 대해 물어보고 신체 검사도 실시한다.

  • 혈액 검사
  • 갑상선 기능 검사
  • 약물 검사
  • 신장 기능 검사
  • 간 기능 검사
  • 소변 검사
  • 알코올 검사
  • 뇌 스캔
  • 요추 천자
  • 감염 징후 확인

세로토닌 증후군의 치료는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 경미한 경우 : 병원에 방문하여 문제를 일으키는 약물을 중단한다.
  • 중증도 증상 : 의사는 증상이 개선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몇 시간동안 병원에 입원하게 할 수 있다.
  • 심각한 세로토닌 증후군 : 병원에 입원하여 집중 치료가 필요하다.

증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치료를 받을 수 있다.

  • 근육 이완제 : 디아제팜, 로라제팜, 벤조디아제핀은 동요, 발작, 근육 경직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 세로토닌 생성 차단제 : 다른 치료법이 효과가 없을 경우 시프로헵타딘같은 세로토닌 생성 차단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 산소 공급 및 정맥 주사(수액) :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호흡하면 혈액 내 정상적인 산소 수준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탈수와 발열을 치료하기 위해  수액이 사용된다.
  • 심박수와 혈압 조절 약물 : 고혈압을 줄이기 위헤 에스모롤, 니트로프루시드를, 혈압이 너무 낮은 경우 페닐에프린, 에피네프린 등을 처방할 수 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란? SSRI의 작동 방식과 주의 사항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샌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항우울제의 일종이다. SSRI는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항우울제다. 울울증 치료에 사용되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