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Fib 약물

심방세동(AFib)은 일종의 부정맥 또는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을 말한다. AFib가 있는 사람은 심방이 불규칙하게 작동한다. 심방이 심실과 동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박동한다. 이로 인해 모든 혈액이 심장에서 펌핑되지 않아 심방 내에 혈액이 고일 수 있다. 혈액이 고여 혈전이 생길 수 있다. 이 혈전이 떨어져 나와 뇌로 이동하면 뇌로 가는 혈류가 막혀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다.

 

뇌전증(간질) 원인과 뇌전증 발작 종류

□ 뇌전증(간질) 뇌전증 발작은 신경세포의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인 이상 흥분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이런 현상을 억누르는 약물을 쓰거나 현상을 일으키는 병소를 제거하면 증상의 완화나 치

jhun1865.tistory.com

AFib에는 약물뿐만 아니라 외과적 수술, 카테터를 포함하여 여러 치료 방법이 있다. AFib을 진단받은 경우 약물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약물은 심장 박동과 박동수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AFib 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고혈압을 관리하는데 도움을 주며,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심박수 약

심박수가 너무 빠르면 심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시간이 지나면 심장이 약해질 수 있다. 약해진 심장은 심주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박수를 조절하기 위해 고안된 몇 가지 약물이 있다.

1. 베타 차단제

베타 차단제는 아드레날린을 차단하여 심박수를 낮춘다. 베타 차단제는 심박수 문제를 포함하여 고혈압, 불안, 편두통 및 기타 문제를 치료할 수 있다. 베타 차단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아세부톨롤
  • 아테놀롤
  • 베탁솔롤
  • 라베탈롤
  • 비소프롤롤
  • 카르베딜롤
  • 메토프롤로 타르트레이트
  • 메토프롤롤 숙시네이트
  • 네비볼롤
  • 펜부톨롤
  • 프로프라놀롤
  • 소탈롤 염산염
  • 티몰롤
  • 나돌롤
  • 핀돌롤

2. 칼슘 채널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는 심박수 조절 작용을 포함하여 동맥의 평활근 내벽을 이완시켜 준다. 또한 심장이 칼슘을 흡수하는 것을 방지한다. 칼슘은 심장의 수축을 강화한다. 이러한 작용은 약물이 심장 근육을 이완시키고 동맥을 넓히는데 도움이 된다. 두 가지의 칼슘 채널 차단제만 심장 박동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 베라피밀 염산염
  • 딜티아젬 연삼염

다른 칼슘 채널 차단제는 말초적으로 작용한다. 혈관을 이완시키긴 하지만 심박수를 조절하는데 도움이 안 된다.

- 심장 박동 약

AFib은 전기적인 문제이다. 심장 박동은 심장 전체에 걸친 경로를 따르는 전류에 의해 제어된다. AFib은 전류가 더 이상 그 패턴을 따르지 않는다. 불규칙한 전기 신호가 심방 전체에 흐르고, 이는 심장을 불규칙하게 뛰게 만든다.

심장 박동 문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을 항부정맥제라고 한다. 나트륨 채널 차단제와 칼륨 채널 차단제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항부정맥제는 AFib 에피소드의 재발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1. 나트륨 채널 차단제

심장 근육이 전기를 전도하는 속도를 줄여 심장 박동을 조절한다.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디소피라미드
  • 멕실레틴
  • 퀴니딘
  • 프로카인아미드
  • 프로파페논
  • 플레카이니드

2. 칼슘 채널 차단제

나트륨 채널 차단제와 마찬가지로 심장의 전기 전도를 늦춘다.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아미오다론
  • 드로네다론
  • 소탈롤 : 베타 차단제이자 칼륨 채널 차단제이다. 심박수와 심장 박동 모두 제어한다.

- 혈액 희석제

혈액 희석제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이 약물은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가 포함된다. 혈액 희석제는 출혈의 위험을 높인다. 혈액 희석제를 처방받으면 치료 중 부작용에 대해 면밀히 관찰하여야 한다.

1. 항혈소판제

항혈소판제는 혈류에서 혈소판의 작용을 방해한다. 혈소판은 뭉쳐서 혈전을 만들어 출혈을 멈추게 만드는 혈구이다. 항혈소판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아나그렐리드
  • 아스피린
  • 클로피도그렐
  • 프라수그렐
  • 티카그렐러
  • 티로피반
  • 보라팍사르
  • 디피리다몰

2. 항응고제

항응고제는 혈액이 응고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연장한다. 의사가 이 약을 처방하면 복용량이 적절한지 모니터링한다. 혈액을 올바른 희석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은 까다로울 수 있으므로 의사는 복용량이 정확한지 자주 확인해야 한다.

비 비타민(non-vitamin) K 경구 항응고제(NOAC)로 알려진 항응고제는 와파린보다 권장된다. 약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 다비가트란
  • 에독사반
  • 리바록사반
  • 아픽사반

와파린은 중등도에서 중증 승모판 협착증이 있거나 인공 심장 판막이 있는 사람에게 권장된다.

항응고제는 경구 또는 주사제로 제공된다. 주사 가능한 형태는 종종 병원에서 제공한다. 주사제는 집에서 복용이 힘들다. 일부의 경우 집에 가져갈 수 있다. 이러한 주사는 피하에 투여된다. 주사 가능한 항응고제는 다음과 같다.

  • 에녹사파린
  • 달테파린
  • 폰다파리눅스

부작용

AFib의 부작용은 다른 약물의 잠재적인 부작용과 다르다. 칼슘 채널 차단제는 빈맥, 두통, 현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베타 차단제는 피로, 손 따가움, 소화 불량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약물을 처방받고 부작용이 있다고 생각되면 병원에 방문하여 상담해야 한다.

의사와 상의 없이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안 된다. 다른 치료 옵션에 대해 상담할 수 있다. 비슷한 작용을 하는 다른 약물을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의사는 다른 약물과 부정적인 상호 작용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모든 약물의 목록을 알아야 한다. 비타민, 보충제, 복용하는 민간요법에 대해서도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이러한 약물들이 AFib 약물과 상호작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