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임신 중기는 산모의 컨디션이 가장 좋은 때이다. 보통 입덧이 사라지고 유산의 위험이 줄어든다. 그렇더라도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합병증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임신 중기에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의 주의 사항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1. 출혈
임신 중기에서 유산할 확률은 적지만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질 출혈은 유산의 첫 번째 경고 신호이다. 임신 2기(20주 이전)의 유산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 중격 자궁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경부가 너무 일찍 열리는 경우 조산을 유발
- 자가면역 질환 : 루푸스, 경피증을 포함한다. 면역 체계가 건강한 세포를 공격할 때 발생
- 태아의 염색체 이상
- 조기 진통
- 전치태반
- 태반 조기 박리
조기 진통, 전치태반, 태반 조기 박리는 3분기에 더 흔하지만 2분기 후반에도 발생할 수 있다.
질 출혈이 나타나면 겁이 날 수 있지만 모든 출혈이 유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임신 중 출혈이 있으면 즉시 치료를 받는다. 의사가 출혈의 이유를 찾을 때까지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2. 조산
임신 38주 이전에 진통이 발생하면 조산으로 간주된다. 다음과 같은 원인이 조산을 유발할 수 있다.
- 방광 감염
- 흡연
- 당뇨병, 신장 질환 등 만성 건강 상태
- 이전에 조산 경험
- 쌍둥이 임신(다태 임신)
- 양수 과다증
- 양수 또는 양막의 감염
쌍둥이 또는 세쌍둥이 임신 - 다태임신 중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 다태임신이란? 한 명 이상의 아기가 잉태한 경우를 다태 임신이라고 한다. 두 명일 경우 쌍둥이, 세 명일 경우 세 쌍둥이라고 한다. 의료가 발달하여 불임을 치료하고, 고령 임산부가 많아지
jhun1865.tistory.com
- 조산의 증상
조산의 징후와 증상은 미묘할 수 있다.
- 질 압력
- 하부 요통
- 잦은 배뇨
- 설사
- 질 분비물 증가
- 하복부의 압박감
다음은 더욱 분명한 조산의 증상이다.
- 고통스러운 수축
- 질에서 양수 누출
- 질 출혈
- 조산 치료
조산을 늦출수록 아기가 태어날 때 발생하는 합병증이 줄어든다. 조산을 늦추기 위해 몇 가지 약물이 도움이 될 수 있다.
- 황산마그네슘
-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 자궁수축 억제제(tocolytics)
조산을 멈출 수 없는 경우 의사는 스테로이드 약물을 투여한다. 스테로이드 약물은 아기의 폐가 발달하는데 도움이 되고 폐 질환의 중증도를 줄일 수 있다. 첫 번째 투여 후 2일 후가 가장 효과적이므로 의사는 투약 후 최소 2일 동안 분만을 방지하려고 조치를 취할 것이다.
3. 조기 양막 파열
분만 중 막이 파열되는 것은 정상이다. 양수는 산모가 진통할 때 터져야 하지만 너무 일직 터지면 아기에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양막은 양수를 감싸고, 박테리아 감염을 예방한다. 양막이 파열되면 태아가 감염될 우려가 있다.
조기 양막 파열의 정확한 원인이 항상 밝혀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원인은 막의 감염이다. 임신 2기의 양막 파열은 조산으로 이어질 수 있는 큰 문제이다. 임신 24주에서 28주 사이에 태어난 영아는 심각한 장기 의학적 문제, 특히 폐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 조기 양막 파열 치료
- 입원
- 항생제
- 베타메타손과 같은 스테로이드
- 테르부탈린과 같은 진통제
김염 징후가 있는 경우 심각한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분만을 유도할 수 있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대부분 파열 후 일주일 이내에 분만한다. 드물게 누출이 적은 경우 양막이 다시 봉인될 수 있다. 조산은 피할 수 있으면 피하는 것이 좋으며 아기는 예정일에 가깝게 태어나는 것이 좋다.
4. 자궁경관 무력증
자궁경부는 질과 자궁을 연결하는 조직이다. 때로는 자궁경부가 임신 중에 커지는 자궁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증가되는 압력은 자궁경부를 약화시켜 예정일 이전에 자궁을 열리게 할 수 있다. 자궁경관 무력증은 흔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자궁경부가 열리고 얇아지는 것은 결국 양막 파열과 조숙한 태아의 분만으로 이어진다. 자궁경관 무력증은 일반적으로 임신 20주 경에 발생한다. 태아는 그 시점에서 자궁 밖에서 생존하기에는 너무 미숙하다.
다음과 같은 경우의 여성은 자궁경관 무력증의 위험이 놓다.
- 분만 중 파열과 같은 이전 자궁 경부의 외상
- 자궁경부 생검
- 자궁 경부의 다른 수술 경험
- 자궁경관 무력증의 증상과 치료
조산과 달리 자궁경관 무력증은 일반적으로 통증이나 수축을 유발하지 않는다. 질 출혈이나 분비물이 있을 수 있다.
자궁경관 무력증의 치료는 제한적이다. 막이 아직 파열되지 않은 경우에는 자궁경부 주위를 봉합할 수 있다(자궁목원형 묶음술). 자궁경부가 많이 확장된 경우 양막 파열될 위험이 더 높다. 봉합 후에는 침상에서 안정을 취해야 한다.
양막이 이미 파열되고 태아가 생존할 수 있는 시기가 되었을 때는 분만을 유도할 수 있다.
- 자궁경관 무력증 예방
과거력이 있는 경우 14주 정도에 자궁목원형묶음술을 시행한다. 이렇게 하면 조산 및 유산의 위험이 낮아진다.
5. 자간전증
자간전증은 고혈압, 단백뇨, 과도한 부종 등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자간전증은 태반을 포함하여 신체의 모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자간전증은 일반적으로 첫 임신의 경우 3분기에 발생한다. 일부 사람들은 2분기에 자간전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자간전증의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루푸스(전신에 염증을 일으킴) 및 간질(발작 장애) 등 자간전증과 혼동될 수 있는 다른 상태에 대해 먼저 평가한다. 또한 혈액 응고 장애 및 포상기태와 같은 자간전증 발병을 높일 수 있는 상태에 대해서도 확인할 것이다.
- 자간전증의 증상
자간전증의 증상에는 다리, 손, 얼굴 등의 부기가 포함된다. 붓기 또는 다음 증상 중 하나가 발생하면 즉시 진찰을 받는다.
- (타이레놀을 복용해도) 사라지지 않는 두통
- 시력 상실
- 분의 부유물
- 복부 부위에 심한 통증
- 멍이 쉽게 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