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뇌사

뇌 손상으로 인해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을 때 혼수상태에 빠져있다고 한다. 때로는 뇌 손상이 뇌간을 포함해 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뇌간은 심장 박동, 호흡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자율기능을 담당한다. 이 부위가 외상 등으로 손상되면 자율기능에 지장이 생길 수 있다.

뇌간에 손상이 생겨 자율신경에 문제가 생긴 환자는 뇌사 상태에 빠진다. 뇌사 상태는 어떤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으며 외부의 도움 없이는 호흡도 불가능하다. 생명 유지장치가 없다면 수분 이내에 사망한다.

 

 

□ 뇌사의 원인

뇌사는 일반적으로 두부 손상, 뇌출혈, 뇌졸중, 심정지 후 뇌로 가는 혈류 손실, 뇌로 가는 산소 공금 중단 등으로 인한 치명적인 뇌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 심장마비 - 심장이 멈추고 혈액 공급이 갑자기 차단됨, 뇌에 산소 부족
  • 뇌졸중 - 뇌에 혈액 공급이 차단됨
  • 혈전 - 혈관이 막혀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함
  • 심각한 머리 부상
  • 뇌출혈
  • 뇌염 등 감염
  • 뇌종양

 

 

□ 뇌사와 식물인간의 차이

광범위한 뇌 손상 후 발생할 수 있는 뇌사와 식물인간 상태의 차이점은 식물인간은 식물인간 상태에서 회복할 수 있지만 뇌사는 영구적이라는 것이다. 식물인간 상태에 있는 사람은 여전히 뇌간의 기능이 정상적이다.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 어떤 형태든 의식이 존재할 수 있다.
  • 도움 없이 호흡하는 것이 가능하다.
  • 뇌간의 기능이 영향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회복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있다.

드물지만 식물인간 상태에 있는 사람은 주변 사물과 상호 작용은 못하지만, 뇌 스캔을 이용해 몇몇 감각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 

 

 

□ 뇌사의 진단

뇌사는 일반적으로 중환자실에서 뇌사 평가 훈련을 받은 의사가 진단한다. 뇌사 진단은 지속적인 혼수상태, 뇌간 반사의 부재, 독립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능력의 결여 이 3 가지 조건이 있어야 한다.

혼수상태는 고통스러운 자극, 언어적 반응이 없고 사지 움직임을 일으키지 못할 때 확인된다. 뇌간 기능은 빛에 대한 동공 반응, 기침 또는 인후 흡입을 통한 여러 가지 반사 테스트를 통해 평가한다. 뇌간의 부재가 확인되면 마지막으로 무호흡 검사를 실시한다. 환자를 일시적으로 인공호흡기 등의 보조 생명 장치에서 벗어나게 한 후 자발적 호흡을 관찰한다. 10분 후에도 호흡이 관찰되지 않고 이산화탄소 수치가 20mm 이상 증가하는 경우, 환자는 뇌사 기준을 충족한다.

매우 낮은 혈압이나 낮은 산소 수치로 무호흡 검사를 받을 수 없는 환자는 뇌사를 확인하기 위해 방사성 검사, 경두개 도플러 초음파 검사, 뇌혈관 조영술 등으로 뇌사를 판단한다.

뇌사의 진단은 사람의 죽음과 동일하다. 어떤 치료도 죽음을 예방할 수 없다. 뇌사상태에 빠지면 인공호흡기를 통해 일시적으로 생명을 유지할 수는 있으나 대사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2주 이내에 사망한다.

 


2021.07.12 - [분류 전체보기] - 두부 손상의 종류와 증상

 

두부 손상의 종류와 증상

□ 두부 손상 두부 손상은 성인의 장애와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두부 손상은 그 정도가 다양하며 두피, 두개골, 뇌가 각각 또는 동시에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기본 조직과

jhun1865.tistory.com

 

2021.07.12 - [분류 전체보기] - 식물인간 상태의 증상 및 원인

 

식물인간 상태의 증상 및 원인

□ 식물인간 식물인간이란 뇌 손상으로 인해 장기적인 무의식 상태를 말한다. 양쪽 뇌의 넓은 부위나 뇌간이 손상되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식물인간 상태는 생각 등 뇌의 고위 정신기능은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