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식물인간

식물인간이란 뇌 손상으로 인해 장기적인 무의식 상태를 말한다. 양쪽 뇌의 넓은 부위나 뇌간이 손상되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식물인간 상태는 생각 등 뇌의 고위 정신기능은 손상되었지만 심장 박동이나 호흡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자율신경 기능은 정상이다.

환자는 소음, 빛 등 기타 자극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팔, 다리를 움직이기도 하고 잠들고 깨는 수면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 인공호흡기 등 보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적절한 치료를 통해 수년 동안 생존이 가능하다.

 

 

□ 식물인간 상태의 증상

의식과 반응이 없는 상태이며 인지 기능이나 사고 능력이 없다. 그러나 여전히 뇌간이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 호흡과 심박수 조절
  • 눈을 뜨고 감는 것
  • 수면-각성의 주기가 있음
  • 약간의 반사신경
  • 눈을 움직이거나, 깜박거림, 눈물을 흘림
  • 신음 소리를 내거나 투덜거리는 소리를 냄
  • 웃는 것처럼 보일 수 있음

의식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환자들은 다음을 할 수 없다.

  • 눈으로 사물을 좇음
  • 음성 명령에 응답
  • 눈을 깜박이거나 몸짓으로 하는 의사소통
  • 목적을 가지고 움직임
  •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
  • 감정의 징후
  • 자각의 신호를 보임

 

 

□ 식물인간의 원인

1. 비외상성 뇌 손상

비외상성 뇌 손상은 뇌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뇌 조직이 손상될 때 발생할 수 있다.

  • 약물 과다 복용
  • 뇌염
  • 심장 마비
  • 수막염
  • 익사 직전
  • 중독
  • 동맥류 파열
  • 연기 흡입
  • 뇌졸중

2. 외상성 뇌 손상

  • 교통사고
  • 낙상
  • 운동 중 사고
  • 폭행

3. 진행성 뇌 손상

 

 

□ 식물인간 상태의 치료 및 관리

정해진 치료법이 없고 뇌가 치유될 수 있도록 지지적 치료에 중점을 둔다. 지지적 치료를 하면서 변화나 개선 징후가 있는지 모니터링한다. 감염, 폐렴, 호흡 부전 등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 치료는 다음 방법이 포함된다.

  • 영양 공급관을 통한 영양 공급
  • 욕창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움직여줌
  • 관절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관절 운동
  •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
  • 장 및 방광 관리(튜브 이용)
  • 치아를 청결하게 유지

- 감각 자극

감각 자극을 통해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시가, 청각, 후각 등 주요 감각을 자극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전문가가 수행하지만 가족 구성원이 참여하도록 권장하는 경우도 있다. 감각 자극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영상 - 친구, 가족 등의 사진 또는 좋아하는 영화를 보여줌
  • 듣기 - 좋아하는 노래를 들려줌
  • 냄새 - 꽃을 두거나 좋아하는 향수를 뿌려줌
  • 만지기 - 손을 잡거나 천 등으로 피부 쓰다듬기

- 회복

의식 장애 상태에 있는 사람이 개선될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일부 사람들은 점차 개선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몇 년 동안 손상된 의식 상태를 유지한다. 회복 기간, 회복 후 예후는 주로 다음에 따라 달라진다.

  • 뇌 손상의 종류
  • 부상이 얼마나 심각한지
  • 환자의 나이
  •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되었는지

 

 

□ 기타 의식 장애와 비교

1. 혼수상태

혼수상태는 깨어있는 징후와 의식하고 있다는 징후가 없는 상태이다. 혼수상태에 빠진 사람은 주변 환경, 목소리, 고통 등에 반응하지 않는다.

혼수상태는 일반적으로 2~4 주 미만 동안 지속되며, 이 기간 동안 깨어나거나 식물인간 상태 또는 무의식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2. 식물인간

식물인간은 깨어있지만 의식의 징후를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식물인간은 눈을 뜨거나 잠들고 깨기, 약간의 반사신경이 있다. 그러나 눈으로 사물을 좇거나 목소리에 반응을 하는 등 의미 있는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식물인간의 진단은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지속적 식물인간 상태 : 4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영구 식물인간 상태 : 비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경우 6 개월,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한 경우 12 개월 이상인 경우

3. 최소한의 의식 상태

최소한 또는 일관성이 없는 인식을 보이는 사람은 최소 의식 상태에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질문을 받았을 때 손가락을 움직이는 등 의사소통하거나 응답할 수 있는 기간이 존재한다. 혼수상태나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환자들도 최소한의 의식 상태로 들어갈 수 있다.

4. 락트-인 증후군

의식은 있지만 전신마비로 인해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눈을 움직일 수 있으며 깜박임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2021.07.12 - [분류 전체보기] - 혼수상태 원인과 진단 치료 방법

 

혼수상태 원인과 진단 치료 방법

□ 혼수상태 혼수상태는 소리, 빛, 접촉 등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반응이 줄어든 무의식 상태이다. 증세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다. 증세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 환자가 일부 자

jhun1865.tistory.com

 

2021.07.12 - [분류 전체보기] - 뇌사의 진단 뇌사와 식물인간 차이

 

뇌사의 진단 뇌사와 식물인간 차이

□ 뇌사 뇌 손상으로 인해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을 때 혼수상태에 빠져있다고 한다. 때로는 뇌 손상이 뇌간을 포함해 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뇌간은 심장 박동, 호흡 등 생명 유지에 필수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