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편도선에 있는 구멍(편도 소낭)은 외부에서 몸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하여 감염 등을 막는다. 그러나 구멍이 음식 덩어리, 기타 파편 등으로 막히거나 박테리아가 갇히면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편도선의 구멍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조건과 상황은 염증, 인후통 및 기타 성가신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편도선 구멍?
편도선은 인후 뒤쪽에 있는 샘과 같은 구조이다. 여기에는 감염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저항하는데 도움이 되는 림프구라는 세포가 포함되어 있다. 인후를 통해 들어오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가두어 신체의 다른 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막는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대처하는 역할 때문에 편도선은 감염에 취약하다.
편도선이 부어오르면 염증, 부스러기 또는 다른 상태로 인한 반흔 조직 형성으로 인해 구멍이 막힐 수 있다.
원인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건이 편도선 구멍에 영향을 미치고 사람들을 감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
1. 편도염
편도선염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나 세균 감염으로 인해 편도선에 염증이 생겼을 때 발생한다.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걸릴 수 있지만 어린이에게서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편도선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인후통
- 삼킬 때 통증
- 두통
- 열
- 메스꺼움
- 구토
- 구취
- 복통
- 피로
- 몸이 좋지 않은 느낌
2. 패혈성 인두염
패혈성 인두염은 편도선염의 한 형태이다. 목구멍과 편도선의 감염으로 어린이에게 잘 발생한다. 패혈성 인두염은 전염성이 있으며 기침과 재채기를 통해 전염된다. 감염된 사람의 피부에 열린 상처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패혈성 인두염에 걸릴 수 있다. 패혈성 인두염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목이 아프고 따끔거림
- 삼킬 때 통증
- 붉게 부어오른 편도선
- 림프절이 부음
- 입천장에 붉은 반점
- 발열
- 두통
- 복통
- 메스꺼움
- 발진
3. 단핵구증
단핵구증은 전염성이 있으며 십 대, 특히 대학생을 포함한 젊은 성인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전염성 단핵구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Epstein-Barr 바이러스(EBV)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파되는 것이다. EBV에 감염된 후 증상이 발생하는 데는 약 4~6 주 걸린다. 단핵구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인후통
- 편도선 부음(고름 발생)
- 피로
- 발열
- 발진
- 두통
- 몸살
- 목, 겨드랑이 림프절의 부기
- 간이나 비장 부기
4. 불량한 구강 위생
구강 위생이 좋지 않으면 박테리아가 축적되어 편도선에 감염될 수 있다. 열악한 구강 위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구취
- 충치
- 플라크
- 백태
5. 편도결석
편도결석은 음식, 죽은 세포 또는 박테리아와 같은 파편이 편도선의 구멍에 갇혀 석회화되어 단단한 결석을 형성할 때 발생한다. 편도선에 만성 염증이 있는 사람이나 편도선염이 재발하는 사람은 편도결석이 생길 가능성이 더 높다. 때로는 편도결석이 자라는 경우도 있어 구멍이 더 커지고 감염이 길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편도결석은 증상을 일으키지 않아 치료할 필요가 없지만 나타날 수 있는 편도결석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인후통
- 구취
- 인후 뒤쪽에 보이는 흰색 파편
- 삼키기 어려움
- 귀의 통증
- 지속적인 기침
6. 구강암 및 편도암
드물지만 구강암이나 편도암이 편도선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구강음의 징후와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입 뒤쪽에 나타나며 치유되지 않는 귀양
- 한쪽 편도선이 다른 편도선보다 큼
- 인후통이 낫지 않음
- 입과 귀의 통증
- 삼킬 때 통증
- 목의 덩어리
- 침에 피가 섞임
- 구취
치료
편도선의 구멍을 직접적으로 치료하지는 않지만 증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치료는 근본적인 문제에 따라 달라진다.
1. 편도염
편도선염이 있는 사람은 신체가 자체적으로 감염과 싸울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의사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 휴식, 일반 의약품 진통제 복용을 권장할 수 있다. 증상이 3~4일 이상 지속되거나 점점 심해지면 처방이 필요하다. 의사는 연쇄상 구군 감염을 검사하고 필요에 따라 항생제 또는 기타 약물을 처방할 수 있다.
2. 패혈성 인두염
패혈성 인두염이 있다고 의심되는 경우 진찰을 받아야 한다. 의사는 인후를 검사하고 연쇄상 구균 박테리아를 확인한다. 패혈성 인두염은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다. 항생제는 증상을 줄이고 다른 사람에게 감염이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3. 단핵구증
단핵구증 치료는 중증도에 따라 달라진다. 사람의 장기에 염증이 생기면 의사는 표적으로 삼는 치료를 제안할 수 있다. 단핵구증이 있는 사람은 다음이 필요하다.
- 물 또는 기타 맑은 액체를 많이 마셔 수분을 유지한다.
- 필요한 만큼 자주 휴식을 취한다.
- 열을 낮추고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약물을 복용한다.
의사는 암피실린이나 아목시실린과 같은 페니실린 항생제로 치료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단핵구증으로 인해 비장이 커지면 접촉 스포츠나 다른 격렬한 신체 활동을 피해야 한다. 격렬한 운동에 참여하면 비장이 파열될 수 있다.
4. 구강 위생 불량
- 하루에 두 번 이상 2분 동안 양치질하기
- 매일 치실 사용하기
- 물 많이 마시기
- 금연
5. 편도결석
편도결석은 결석의 크기와 증상을 유발하는지 여부에 따라 치료를 할지 말지 결정된다. 작은 결석은 소금물 가글하여 제거될 수 있다. 그래도 효과가 없으면 레이저나 음파 등으로 제거한다. 결석이 크고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편도결석이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 부작용을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 된다.
6. 구강암 및 편도암
구강암과 편도암의 치료는 암의 유형, 진단 단계, 전이 여부에 따라 다르다. 치료에는 수술, 화학 요법 또는 방사선 요법이 포함된다. 경우에 따라 이들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편도결석 제거하는 방법 BEST 6
편도결석은 편도선에 생기는 작은 돌이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인후통, 구취 등 사소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관개, 가글 및 기타 요법으로 편도결석을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jhun1865.tistory.com
구강암 증상과 치료 방법
□ 구강암이란 입안에 생기는 암을 구강암이라 말한다. 입술, 구강(혀, 뺨 안쪽, 경구개(입천장의 앞부분), 잇몸, 턱뼈 등)이나 구인두(혀의 후방에서 목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발생한다. 구강 표
jhun1865.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