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UfhV/btqVK7DOz0u/na0TTo6XBEHnGK7I3XDARK/img.jpg)
○ 척수 종양이란 척수는 뇌의 연수에서 척추 안을 가로지르는 긴 원기둥 형태의 중추신경이다. 척수 종양은 척수와 이어진 신경에 자라는 종양이다. 발생 부위에 따라 척수 안에 발생하는 수내 종양과 척수 밖에 발생하는 수외 종양으로 나뉜다. 수외 종양은 다시 경막 내 종양, 경막 외 종양 및 척추 종양으로 나뉜다. 40~50대에 많이 발견되는 암이며 동통 및 위약, 배변장애 등의 신경학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 척수 종양의 증상 종양이 발생하는 위치, 자라는 속도, 신경 침범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수외 종양은 척수와 신경근이 눌리거나 혈관이 폐쇄되어 증상이 나타난다. 복통 또는 요통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다른 부분으로 방사되는 특징이 있다. 허리를 숙이거나 굽혔을 때 통증이 악화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ycKUz/btqVOr2Vi3f/ETdoJR5acKtkTCWkQhFkg1/img.png)
2021/02/04 - [분류 전체보기] - 뇌종양 증상과 뇌종양의 등급 뇌종양 증상과 뇌종양의 등급 △ 뇌종양이란 뇌에서 자라는 불필요한 세포 덩어리를 지칭하는 말로 뇌 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한 종양과 머리뼈나 머리뼈 주변 구조물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 조직이나 jhun1865.tistory.com △ 뇌종양의 치료 1. 약물 치료 주로 뇌종양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에 대한 치료를 시행한다.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는 종양으로 인한 뇌압 상승과 마비 등 신경학적 결손이다. 뇌압은 종양과 종양 주위의 뇌부종, 종양으로 인한 수두증, 정맥 울혈로 인한 용적 증가 등이 원인이 된다. 뇌압이 상승한 경우 뇌 조직이 국소적으로 압박되어 마비가 나타난 경우 뇌부종을 줄이고 뇌의 용적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xGYw/btqVIaA8xjD/D0x9Acscuk6sv8S24cdjjk/img.jpg)
△ 뇌종양이란 뇌에서 자라는 불필요한 세포 덩어리를 지칭하는 말로 뇌 조직이나 뇌를 싸고 있는 막에서 발생한 종양과 머리뼈나 머리뼈 주변 구조물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뇌 조직이나 뇌막으로 전이된 종양을 말한다. 뇌종양은 원발성 뇌종양과 전이성 뇌종양으로 나뉜다. 원발성 뇌종양은 다시 양성 뇌종양과 악성 뇌종양으로 나뉜다. 양성 뇌종양은 종양이 매우 느리게 자라며 경계가 명확하고 드물게 주변 조직으로 침윤된다. 수술적 제거가 가장 효과적인 치료이며 수술 외 별다른 치료를 병행하지 않아도 완치되는 경우가 많다. 천천히 자라기 때문에 수술을 하지 않고 경과를 관찰하기도 한다. 그러나 뇌간과 척수 내에 발생한 종양은 수술적 제거가 불가능하다. 이 부위는 생명 활동에 중요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조직학적..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3zXo/btqVRvqdzEG/d3W3fQl2LUGHH1AhTajqnk/img.jpg)
□ 교모세포종이란? 교모세포종이란 뇌 조직에 존재하는 신경교세포에 발생하는 종양을 일컫는다. 전체 뇌종양의 12~15% 정도가 교모세포종이다. 뇌에서 발생하는 종양중 치사율이 가장 높은 악성 종양이며 치료가 불가능한 최악의 암으로 알려져 있다.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 치료를 진행해도 평균 생존 기간이 14개월에 불과하다. 발생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바이러스 감염, 방사선 및 발암 물질 노출, 면역 결핍 등에 의한 유전자 손상 및 신경섬유종증 같은 유전성 증후군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 교모세포종 증상 교모세포종은 다른 암에 비해 성질이 매우 다양하다. 유방암, 폐암 등과 같이 하나의 항원을 타깃으로 치료하는 '표적 치료'가 불가능..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5ue4Y/btqVbXPkjOA/Kkh5UT2G2IGkQADJH6ev9k/img.jpg)
◇ 안면신경 마비 재건수술이란 안면신경은 안면의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이다. 뇌에서 측두골인 귀 뒤 작은 구멍을 통해 안면으로 나와 다섯 가닥으로 나뉜다. 다양한 감정 표현이 안면신경을 통해 가능하다. 또 눈을 감을 수 있게 해 눈울 보호하고, 말을 하고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입을 움직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미각과 청각에 일부 영향을 주기도 하는 신경이다. 뇌종양이나 침샘의 악성종양 제거 시 흔히 발생한다. 손상된 신경을 복구하거나 다른 신경을 이어 주기도 한다. ◇ 안면신경 마비 증상 표정이 없어진다. 입이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돌아가며, 처지고 움직이지 않는다. 뺨과 입 사이의 골이 없어지고 평편하다. 입이 다물어지지 않아 음식을 씹기 어렵고, 마비된 쪽으로 침, 음식이 흐른다. 이마의 주룸이 없..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gDZi/btqUvCYjy6k/kaSoPCts2RjIc9ZZkw7p7K/img.jpg)
□ 안면 마비란? 안면 마비는 얼굴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 신경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말한다. 안면 마비가 생기면 한쪽 얼굴 근육의 움직임이 감소하여 양쪽이 비대칭이 된다. 뇌의 외상, 출혈, 감염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중추 신경 마비는 양측성의 구순, 비근, 안면 마비 증상을 유발한다. 말초신경 마비는 편측 저작 곤란 증삭을 유발한다. 특발성 안면 마비(벨 마비)는 특별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를 뜻한다. 벨 마비는 영국 의사인 찰스 벨의 이름을 딴 진단명이다. 안면 마비 중 가장 흔하기 때문에 널리 쓰이는 의학 용어다. 특정 원인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원인에 맞춰 치료를 진행한다. 램지 헌트 증후군이 있다면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안면에 대상포진과 함께 마비가 발생한다. 교통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