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2agrj/btq9gR9scBZ/9ZaX1AxsD8rAzilWKYF2w1/img.jpg)
□ 식물인간 식물인간이란 뇌 손상으로 인해 장기적인 무의식 상태를 말한다. 양쪽 뇌의 넓은 부위나 뇌간이 손상되면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식물인간 상태는 생각 등 뇌의 고위 정신기능은 손상되었지만 심장 박동이나 호흡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자율신경 기능은 정상이다. 환자는 소음, 빛 등 기타 자극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팔, 다리를 움직이기도 하고 잠들고 깨는 수면 패턴을 보이기도 한다. 인공호흡기 등 보조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적절한 치료를 통해 수년 동안 생존이 가능하다. □ 식물인간 상태의 증상 의식과 반응이 없는 상태이며 인지 기능이나 사고 능력이 없다. 그러나 여전히 뇌간이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는 다음을 수행할 수 있다. 호흡과 심박수 조절 눈을 뜨고 감는 것 수면-각성의 주기가 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iGZi/btq9nCwS35Y/XRrqIs3y0uJHqT0RPtO6dk/img.jpg)
□ 혼수상태 혼수상태는 소리, 빛, 접촉 등 외부 자극에 대해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반응이 줄어든 무의식 상태이다. 증세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다. 증세가 심각하지 않은 경우, 환자가 일부 자극에 반응하여 눈을 움직이거나 기침을 하고 웅얼거리기도 한다. 깊은 혼수상태에 빠진 경우에는 어떤 자극에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외상성 두부 손상, 뇌졸중, 뇌종양, 약물, 알코올 중독, 당뇨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혼수상태는 응급 상황이며, 생명과 뇌 기능을 보존하려면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 혼수상태가 몇 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다. 오랫동안 의식이 없는 사람들은 식물인간 상태 또는 뇌사 상태로 전환된다. □ 혼수상태의 원인 외상성 뇌 손상 : 교통사고, 폭력 행위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뇌졸중 : 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l06T/btq9sDuWNLG/ue2z4CeqLJyKHpIbRCrXnK/img.jpg)
□ 두부 손상 두부 손상은 성인의 장애와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두부 손상은 그 정도가 다양하며 두피, 두개골, 뇌가 각각 또는 동시에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의 기본 조직과 혈관에 발생하는 손상을 설명하는 광범위한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두부 외상 정도에 따라 뇌 손상, 외상성 뇌손상이라고도 부른다. 두피만 손상된 경우는 가벼운 손상이기 때문에 쉽게 회복된다. 두피는 혈관이 표피 가까이에 있어 가벼운 찰과상으로도 출혈이 많아 실제보다 심각해 보인다. 두개골 골절은 머리에 타격이 가해질 때 생긴다. 두피 출혈이 없더라도 두개골 골절이나 두개 또는 뇌에 출혈이 생길 수 있다. 뇌의 직접 손상은 두개골 골절이나 자상 등 관통으로 인한 손상으로 생길 수 있다. 뇌의 간접 손상은 두개골에 손상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onx2Z/btq9hzAY3u1/7I0RqwiOnCclDGiGsx04Y0/img.jpg)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s Syndrome) 베르니케-코라스코프 증후군은 비타민 B1(티아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뇌 장애의 일종이다. 이 증후군은 사실 베르니케병과 코르사코프 증후군으로 나뉘어져 있고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으로 묶였다. 일반적으로 베르니케 병의 증상이 먼저 발생한다. 베르니케 병은 베르니케 뇌병증으로도 불린다. 2021.05.30 - [분류 전체보기] - 베르니케 뇌병증 진단 및 치료 베르니케 뇌병증 예후 및 주의사항 베르니케 뇌병증 진단 및 치료 베르니케 뇌병증 예후 및 주의사항 □ 베르니케 뇌병증 베르니케 뇌병증은 비타민 B1(티아민)의 결핍이 원인이다. 티아민은 뇌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다. 정제되지 않은 곡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2XFE/btq9gzgEzgs/EKK6WHgMe5NkDPW2rCCeZk/img.jpg)
□ 실어증 실어증은 말을 하거나 이해, 읽고 쓰는 능력에 영향이 생기는 언어 장애이다. 실어증은 항상 뇌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특히 노년층에서는 뇌졸중으로 인한 경우가 가장 흔하다. 실어증을 유발하는 뇌 손상은 두부 외상, 뇌종양 또는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뇌졸중, 두부 손상, 뇌 감염으로 인한 실어증은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악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뇌종양 같은 진행성 장애로 인한 실어증은 시간이 살수록 악화될 수 있다. 종양이 켜지면서 언어 기능을 제어하는 뇌 영역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언어를 표현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이 더욱 손상될 수 있다. 실어증은 경미할 수도 있지만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할 수도 있다. 대상의 이름을 기억하는 능력, 단어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ayvy/btq9gYAoA9t/7ykkZlHQFBHsuH7xHdCZwk/img.jpg)
□ 소아 뇌전증 소아 뇌전증에는 여러 요인이 경련을 일으킬 수 있고, 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가능한 선행 원인을 빨리 찾아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잘 알려진 뇌전증의 원인은 유전, 교통사고로 인한 뇌 손상, 미숙아, 분만 중 뇌 손상, 분만 중 뇌에 산소 공급이 안 되었을 때, 뇌염이나 뇌수막염을 앓은 후유증으로 신경세포가 망가진 경우, 뇌 형성 중 문제가 있는 경우, 뇌종양, 뇌혈관 기형, 뇌내 기행충 감염 등이 있다. □ 경련 발생 시 대처 대부분 1~2분 이내에 멈추는 짧은 시간의 경련은 대부분 아이에게 부담되지 않는다. 1~2분 동안 경련을 멈추게 하는 특별한 저치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경련을 하는 중에는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에 강직이 오므로 꽉 끼는 옷을 풀어 줘 숨 쉬기 쉽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