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4YSk/btq8ZqDCfre/BgNQo0uYnPdaYJFOGvy820/img.jpg)
□ 골 파제트병 골 파제트병은 뼈가 비정상적 교체가 일어나 비대해지고 연약해지는 만성 골격 질환이다. 파제트병은 모든 뼈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골반, 대퇴골, 두개골이 가장 흔하게 영향을 받는다. 정강이, 척추, 쇄골, 상완골은 일반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정상적인 뼈는 기존 뼈를 파괴하는 세포(뼈 파괴 세포)와 새로운 뼈를 형성하는 세포(뼈모세포)가 균형을 이뤄 뼈 구조와 안전성을 유지한다. 골 파제트병에서는 뼈 파괴 세포와 뼈모세포가 일부 부위에서 항진되어 뼈가 파괴되고 재구축하는 속도가 크게 증가한다. 항진 부위는 비대해져 크기가 커지지만, 큰 크기에도 불구하고 비정상적으로 쇠약하다. 40세 미만의 젊은 사람에게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나이가 많을수록, 가족력이 있는 경우 걸릴 위험이 높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sOpU6/btq8Oi7qW8w/kywkyUBEb8KyV53n3dzK30/img.jpg)
□ 다한증 다한증은 열이나 운동과 상관없이 나다나는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발한(땀샘에서 땀을 분비하는 일)이다. 땀이 너무 많이 흐르면 옷에 스며들거나 손에서 흘러 떨어질 수 있다. 심한 발한은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불안과 난처함을 유발할 수 있다. 다한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강한 발한 억제제를 처방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발한 억제제가 도움이 되지 않으면 다른 약물을 처방한다. 혹은 땀샘을 제거하거나 땀을 과잉 생산하게 만드는 신경을 분리하는 수술을 할 수 있다. 다한증의 종류 손바닥, 발바닥 다한증 : 긴장하거나 더우면 손, 발에 땀이 많이 나는 증상으로 손바닥 피부염, 기구를 조작하거나 신체 접촉 시 불편하다. 겨드랑이 다한증 : 겨드랑이에 땀이 많이 나서 옷이 젖을 정도로 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MmTML/btq8KYAiW33/EkVYBgssrebKR7UBkScP11/img.jpg)
□ 액취증 액취증은 겨드랑이 땀샘의 일종인 아포크린 샘에서 분비된 땀으로 인해 냄새가 나는 것이다. 이 땀은 분비될 때는 냄새가 나지 않지만, 분비된 후 피부에 있는 세균에 의해 분해되며 지방산과 암모니아를 만들고 강한 냄새가 발생한다. 액취증과 겨드랑이에서 땀이 많이 나는 액와 다한증은 다른 질병이지만 대부분 같이 발생한다. 2021.07.05 - [분류 전체보기] - 다한증 원인과 치료 방법(약물 치료, 수술) 다한증 원인과 치료 방법(약물 치료, 수술) □ 다한증 다한증은 열이나 운동과 상관없이 나다나는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발한(땀샘에서 땀을 분비하는 일)이다. 땀이 너무 많이 흐르면 옷에 스며들거나 손에서 흘러 떨어질 수 있다. 심한 jhun1865.tistory.com 샘에는 냄새를 유발하는 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5aXlI/btq8CMfvVrW/6fGJvU4mkifPPea9XDJi30/img.jpg)
□ 가스트린 가스트린 검사는 혈액의 가스트린 양을 측정한다. 가스트린은 위에서 생성되는 산의 양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다. 위에서 소화가 일어나는 동안 G세포라는 특수 세포에서 호르몬이 분비된다. 음식을 먹으면 위는 산성이 줄어들고 가스트린 생성이 증가한다. 생성된 가스트린은 벽 세포를 자극해 위산 생성을 자극한다. 위가 산성화 되면 음식은 쪼개지고, 가스트린 생성은 억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혈중 가스트린이 약간 낮거나 정상적인 농도로 유지된다. 드물지만 G세포 과식증 또는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으로 인해 위산 생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료하기 힘든 소화성 궤양이 발생할 수 있다.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은 높은 가스트린 수치와 과도한 위산 분비가 특징이며 가스트린을 분비하는 종양인 가스트린 종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57sq/btq8ysI5FE0/OGvmnU1wtBkU2eeTITL3L1/img.jpg)
□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졸링거-엘리슨 증후군(Zollinger-Ellinson syndrome)은 췌장이나 소장 상부(십이지장)에 종양이 발생하는 희귀 질환이다. 가스트린 종이라고 불리는 이 종양은 많은 양의 가스트린(호르몬)을 분비하여 위산을 과도하게 생성하게 한다. 과도한 산은 설사 및 소화성 궤양 등을 유발한다. 이 종양의 절반 가량이 악성이다.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지만 20~60세에 많이 발생한다. 위산을 줄이고 궤양을 치료하는 약물 치료가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의 일반적인 치료법이다. 졸링거-엘리슨 증후군의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복통 설사 상복부의 작열감 위산 역류 및 속 쓰림 트림 메스꺼움, 구토 소화관 출혈 원인 불명의 체중 감소 식욕 감소 □ 졸링거-엘리슨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BdQb8/btq8cNmOms6/9TfcIVFfkKKgUY2NuY2C41/img.jpg)
□ 소화성 궤양 소화성 궤양은 위병이나 십이지장 벽이 위산, 소화액으로 인해 부식되어 나타나는 원형 또는 타원형 궤양이다. 궤양은 위병이나 십이지장 벽을 관통한다. 위염이 궤양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궤양의 크기는 수 밀리미터에서 수 센티 미티까지 다양하다. 소화성 궤양이 발생하는 부위는 위, 식도, 십이지장이 있다.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중년 성인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여성보다 남성에게 2~3배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소화성 궤양 원인 소화성 궤양의 가장 흔한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은 십이지장 궤양의 80~90%, 위궤양 환자의 70~80%를 차지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면 위산 분비를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