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jnRr3/btrtX0DMiIK/LlWaTk7ZhAS7ZpzkwuzKu1/img.png)
□ 아나필락시스란? 심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알레르기 항원에 노출되면 아나필락시스라는 생명을 위협하는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는 독, 음식, 약물 등에 대한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다. 대부분 벌에 쏘이거나 땅콩 등 견과류와 같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음식을 섭취하여 발생한다. 아나필락시스는 발진, 저혈압, 아나필락시스성 쇼크를 포함한 증상을 유발한다. 아나필락시스를 진단받으면 항상 에피네프린이라는 약을 휴대할 것을 권장할 것이다. 이 아나필락시스의 증상으로 생명이 위급할 때 사용한다. □ 아나필락시스 징후 인식하기 증상은 일반적으로 알레르기 항원과 접촉한 직후에 발생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복통 불안 착란 기침 발진 얼굴 부기 저혈압 천명 삼키기 어려움 가려움 입과 목의 부기 메스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mlQH/btrs7FUXOeQ/ObpCajOxy6pEGluYXmNO10/img.png)
□ 입안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입과 입술을 포함하여 신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영역에만 나타나는 두드러기는 벌침 등 자극 물질과 접촉한 결과이다. 드문 경우지만 입 안이나 입 주변에 발생하는 두드러기는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의 초기 징후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경우 119, 가까운 병원이나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입술, 혀 또는 목구멍의 붓기 호흡 곤란 천명 메스꺼움 또는 구토 현기증 의식 소실 또한 입 주변의 두드러기는 혈관 부종일 수도 있다. 혈관 부종은 피부 표면 아래에서 붓는 것이다. 두드러기와 유사하게 자극제나 알레르겐에 노출된 결과이며 두드러기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 - 입안 두드러기의 심각도 두드러기는 일반적으로 심각하지 않다. 대부분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l8GNm/btrsYdcWbNs/POoNTPB1IF0ivuVCHv3paK/img.png)
□ 두드러기의 증상 두드러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융기된 피부 병변이 신체 모든 부위에 나타날 수 있다. 병변은 가려운 경향이 있다. 병변은 종종 집단적으로 나타난다. 분홍색, 빨간색 또는 피부색으로 나타난다. 병변 가운데를 누르면 색이 바래진다. 일반적으로 24시간 이내에 사라진다.(새로 생길 수 있음.) 크기가 좁쌀만 한 것에서 몇 cm까지 다양하다. 두드러기가 항상 융기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작은 반점으로 나타날 수 있고, 얼룩 같이 보일 수 있다. 그리고 가늘고 솟아오른 선 같은 모양이 될 수도 있다. 병변이 나타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접촉성 두드러기가 있는 사람은 피부에 라텍스 또는 자극제 같은 알레르겐이 닿으면 반응이 일어난다. 10~60분 이내에 반응..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gdKl/btrsSkpHgrF/1JJMmSy7Tr2wjoaklOBFb0/img.png)
□ 두드러기(Urticaria, hives)란 두드러기는 홍반성 발적을 동반한 매우 가려운 피부 발진이다.(홍반성 발적이 없을 수도 있다.) 두드러기와 함께 자주 나타나는 부종을 혈관부종이라고 한다. 두드러기(Urticaria)라는 이름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쐐기풀 Urtica dolica에서 유래되었다. 알레르기 반응, 특정 식품의 화학 물질, 벌레에 쏘임, 햇빛, 약물 등이 두드러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두드러기가 발생한 이유를 정확히 알아내는 것은 대부분 불가능하다. 급성 두드러기의 50%, 만성 두드러기의 70%에서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며, 전체 두드러기 환자의 일부에서만 원인을 밝힐 수 있다. 특히 급성 두드러기는 약물, 음식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만성 두드러기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fIhOV/btrlQ0FBJkJ/XkGmDkyikcjl0EhaZSx4I0/img.jpg)
□ 턱뼈의 골절과 탈구 턱뼈 골절(하악 골절)과 턱뼈 탈구는 안면 외상을 포함해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하품을 하거나 음식을 물 때 입을 너무 많이 벌리는 것도 탈구를 유발할 수 있다. 골절과 탈구 모두 턱과 얼굴에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턱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식사와 호흡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턱뼈 골절은 얼굴에 멍과 붓기가 발생한다. 탈구는 아래턱이 두개골과 정렬이 올바르게 되지 않는다. 턱의 아랫부분을 하악이라고 부른다. 하악은 턱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측두하악 관절을 통해 두개골과 연결되어 있다. 하악골이 부상으로 인해 뼈가 완전히 부러지거나 뼈가 변위 되지 않은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턱 탈구는 하악이 측두하악 관절 하나 또는 둘 모두 분리될 때 발생한다. 측두하악 관절 장애는..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xBZV/btrlNc0xLhx/UW2x30RPoYSpkP0CNDNkm0/img.jpg)
□ 소아 손가락 골절 손은 어린이의 신체 중 가장 많이 다치는 부위이다. 소아 손 골절은 대부분 지골, 특히 근위 및 원위 지골에서 발생한다. 어린 아동은 가계 부상을 많이 입고, 나이가 많은 아동은 주로 스포츠 관련 부상이 많다. 소아 손가락 골절은 보존 치료로도 우수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골절 각도가 크거나, 회전이 있는 경우 등 일부 골절은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성장 정지, 부정교합, 관절 기능 장애 등 합병증이 올 수 있으며 외관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대부분의 골절은 손상 후 첫 주 이내에 해결되는 경우 폐쇄 정복(절개하지 않고 되맞추는 시술) 및 경피적 고정(percutaneous pinning)으로 치료할 수 있다. 어린이의 경우 골막의 혈관이 두껍고 혈액이 풍부하고 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