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zx05O/btqU7dRgPXK/iXJyhOauVwBoQM8ybl8DTk/img.jpg)
■ 상기도 감염이란? 상기도란 기도의 윗부분으로 코, 편도, 인두, 후두 기관을 지칭한다. 상기도 감염은 코, 인두, 후두, 기관 등 상기도의 감염성 염증을 말한다. 급성 비염, 급성 부비동염, 급성 인후염, 급성 중이염, 급성 기관지염 등을 이르는 용어다. 흔히 감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상기도 감염(감기)은 바이러스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세균 감염이 원인인 경우도 있는데 이는 5~10% 정도로 적다. 감기는 아동기에 흔하게 발생하며 4~7세 전후로 절정에 달한다. 단체 생활을 하는 경우 감염 환자에게 쉽게 전파되는 경향이 있다. 유치원 등 외출을 하고 돌아온 뒤 손을 씻고 몸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도움된다. ■ 상기도 감염의 증상 콧물, 재채기, 기침, 발열, 인후통 등이 올 수 있다. 부비동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addTv/btqU3n7ph07/l69gEd6lBNFZs635MrXAR1/img.jpg)
■ RS 바이러스 감염증이란 RS 바이러스 감염증은 RS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유발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이다. RS 바이러스는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라고 부른다. 만 2세까지의 거의 모든 소아가 감염될 정도로 감염력이 높은 질환이다. 가을에서 초봄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이 바이러스에 한번 감염되면 평생 지속적으로 재감염된다. 성인의 경우 가벼운 감기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면역 저하자, 노령층에서는 중증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모세 기관염과 폐렴으로 진행된다. 어린아이가 RS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사망 위험률이 커진다. 미숙아, 만성 폐질환, 선천성 심장 질환이 있는 고위험군 아기가 RS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심각한 합병증이 따라올 수 있다. ■ RS 바이러스 감염증 증상 및..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FCRFW/btqUzvrkkCQ/rUCKUgDgAHkFpKreTexWYk/img.jpg)
■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말 그대로 대상포진 후에 발생하는 만성 통증이다. 발진이 발생한 지 1개월이 지난 후에도 통증이 남아 있는 것을 말한다. 나이가 많을수록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60세 이상 대상포진 환자의 20~50% 정도는 6개월 이후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70세 이상 대상포진 환자의 50% 정도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경험한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당뇨 환자, 면역 저하 환자, 여성에게 발생 위험이 높다. 원인이 정확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급성기의 염증과 그 결과 나타나는 통증 신호들에 의해 통증 전달 체계의 정보처리 기능이 변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 증상 대상포진은 물집이 생기기 며칠 전부터 통증이 생기므로 다른 병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감기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AB6ZN/btqUnLvHVls/KTF1XTdVQz1EJeVZTazOGK/img.jpg)
■ 대상포진이란? 띠 모양의 발진이란 뜻으로 피부 한 곳에 통증과 함께 신경대를 따라 줄무늬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에 무증상으로 남아있다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력이 떨어질 때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며 통증을 유발한다. 고령, 면역 저하제 사용. 에이즈 등에 의해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다. 암, 항암 치료, 방사선 치료, 이식 후 거부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 억제제를 복용하거나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하는 경우에도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외에 질병, 사고, 스트레스 등으로 면역력이 약해져도 대상포진이 발생한다. 대상포진 발병 비율은 건강한 사람 1천 명당 1.2~3.4명이며 65세 이상의 경우 1 천명당..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3zSir/btqUkZgQ4A1/mi1WvwS45vLtLoqYWZRafK/img.jpg)
※ 급성 심근경색증이란? 급성 심근경색증은 심장 근육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혈전(응고된 혈액) 또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완전히 막혀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괴사 하는 질환이다. 협심증과는 다르다. 심근경색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질환이며 가장 많은 사망 원인 중 하나다. 초기 심근경색의 사망률은 30%에 달하며 사망환자의 50% 이상이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한다. 약물 및 치료법의 발전으로 급성 심근경색의 사망률을 30% 이상 감소시켰지만, 여전히 25명 중 1명은 퇴원 후 1년 이내에 사망하게 된다.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 막이 생긴다. 섬유성 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으로 퍼지고 갑작스럽게 혈액이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3HZdI/btqUk0LI0Pj/tgPZk9KkxyfUWHfoImKqDK/img.jpg)
■ 협심증이란?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 동맥이 동맥 경화증으로 좁아지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동맥 경화증은 20대 초반부터 진행되며, 면적의 70% 이상 좁아지면 협심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의 일부 또는 전체 혈류 공급이 감소하면서 산소 및 연양 공급이 줄어 심장 근육이 허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심근경색은 관상 동맥이 완전히 막혀 발생하고 협심증은 어느 정도의 혈류는 유지되므로 운동 등 심장 근육의 산소요구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증상이 발생한다.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가족력 등이 위험 인자다. 그 외에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도 위험 인자에 포함된다. ■ 협심증 증상 가장 흔한 증상은 가슴 통증이다. 가슴이 쥐어짜지는 느낌이 들며 주로 가슴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