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nq93/btranW07CQf/8Bw7WkYBLNTHH8VcxubaKk/img.jpg)
□ 중증 근무력증(Myathenia gravis) 중증 근무력증은 자발적인 통제 하에 있는 모든 근육(수의근)의 쇠약과 빠른 피로가 특징이다. 이 증상은 신경과 근육 사이의 정상적인 의사소통이 안되면 발생한다. 중증 근무력증은 심각한 근육 약화를 의미하지만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고 수명과는 관계가 거의 없다. 눈 주위 근육이 먼저 영향을 받아 눈꺼풀이 처지는 경향이 있다. 환자는 복시, 팔다리의 쇠약, 씹기, 삼키기, 말하기, 호흡 곤란을 경험할 수 있다. 심장 근육 등 불수의근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중증 근무력증의 증상 중증 근무력증으로 인한 근력 약화는 영향을 받은 근육을 사용하면 더 악화된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휴식을 취하면 개선되기 때문에 근육 약화가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중증 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xZuei/btranaZFAtv/c9ZuaQ7zXKolpUczg06t70/img.jpg)
□ 말초 신경 손상 말초 신경계는 뇌와 척수를 신체 전체에 연결하는 43쌍의 운동 및 감각 신경망이다. 이 신경들은 감각, 운동, 조정 기능을 제어한다. 말초 신경은 주변 조직과 연결되어 있는 축색 돌기라는 섬유로 이우어져 있어 연약하고 쉽게 손상된다. 신경 손상은 근육 및 기관과 소통하는 뇌의 능력에 영향을 준다. 말초 신경 손상을 신경병증이라고 부른다. 말초 신경 손상은 가능한 한 빨리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진단과 치료는 합병증과 영구적인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 말초 신경 손상의 원인 열상(신경 조직의 절단 또는 찢어짐) 타박상 스트레칭 약물 낙상 당뇨병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 등 자가면역 질환 길랭-바레 증후군 수근관 증후군 □ 말초 신경 손상의 증상 경미한 증상부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QXLg/btraibZHArF/sD1fIO1PXo4EJevPzlzHV1/img.jpg)
□ 벨 마비(Bell's palsy) 벨 마비(안면 마비)는 안면 근육의 갑작스러운 약화를 말한다. 약화에 의해 얼굴은 절반이 처진 것처럼 보인다. 한쪽 입꼬리만 올라가고, 눈이 감기지 않는다. 증상은 일시적이며 몇 주 이내에 개선되며 약 6 개월 이내에 완전히 회복된다. 많은 사람들이 뇌졸중이 아닐까 걱정하지만 마비가 얼굴에만 영향을 미치는 경우 벨 마비일 가능성이 크다. 이 상태를 처음으로 기술한 스코틀랜드의 외과의사 Charles Bell의 이름을 따왔다. □ 벨 마비의 증상 벨 마비의 증상은 갑자기 나타난다. 48~72 시간 내에 최고 심각도에 도달하며 완전한 마비를 경험한다. 증상은 3주 후에 점차 개선되기 시작한다. 약 80%의 사람들이 완전히 회복되어 3 개월 이내에 벨 마비의 증상을 보이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ZW1TJ/btrajQf0yjs/nwYXmAJv8VpNjblegDKrgK/img.jpg)
□ 수근관 증후군 손목 터널 증후군으로도 알려진 수근관 증후군은 정중 신경이 압박받으면서 발생한다. 수근관은 손바닥 쪽의 뼈와 인대로 둘러싸인 좁은 통로이다. 정중 신경이 압박되면 손목과 팔의 저림, 쇠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정중 신경은 엄지, 검지, 장지, 약지의 감각을 제공하며, 엄지손가락으로 가는 근육에 영향을 끼친다. 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흔한 문제 중 하나이다. 손목의 해부학적인 구조, 반복적인 손동작 등이 수군관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수군관 증후군의 증상 따끔거림 또는 무감각 : 손가락이나 손에 따끔거림이나 무감각이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엄지, 검지, 중지, 약지가 영향을 받고 새끼손가락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증상이 손목에서 팔로 퍼질 수 있다. 증상이 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MHA3E/btraeynkR1G/seAfFcO8LSyPMKZCoCwCck/img.jpg)
□ 좌골 신경통(Sciatica) 좌골 신경통은 허리에서 엉덩이와 엉덩이를 거쳐 각 다리로 분기되는 좌골 신경의 경로를 따라 방사되는 통증을 말한다. 좌골 신경이 자극받아 통증이 일어나며 일반적으로 좌골 신경통은 신체의 한쪽에만 영향을 미친다. 좌골 신경통은 탈출된 디스크, 척추의 협착, 척추의 골극(뾰족하게 더 자라난 뼈)이 신경의 일부를 압박할 때 흔하게 발생한다. 염증, 통증과 더불어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좌골 신경통은 요통과 혼동될 수 있다. 좌골 신경통은 허리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좌골 신경은 인체에서 가장 길고 넓은 신경이다. 허리에서 엉덩이를 거쳐 무릎 아래에서 끝난다. 이 신경은 하지의 여러 근육을 제어하고 발의 피부를 포함해 하체의 감각을 통제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최대 40%의 사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aI42/btrai6QDYxn/kQGt1f1cT0bwgugNei7BYK/img.jpg)
□ 삼차 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삼차 신경통은 얼굴에서 뇌로 감각을 전달하는 삼차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만성 통증 상태이다. 삼차 신경통이 있는 경우 양치질, 화장 같은 가벼운 얼굴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가장 고통스러운 통증 중 하나이며, 얼굴 아래, 턱, 코, 귀, 눈, 입술 주위 등에 통증이 발생한다. 통증은 자극 반응성 또는 자극으로 나뉜다. 자극 반응성 : 외부 자극이 신경계의 특정 통증 수용체를 유발할 때 발생한다.(화상으로 인한 통증 등) 비자극 반응성 : 신경 손상이나 신경계의 결함으로 발생한다. 신경 자체가 뇌에 통증 신호를 보내고 있다. 신경통은 자극 무반응성 통증의 일종이고 삼차 신경통도 얼굴의 삼차신경 또는 제5 뇌신경에 의해 유발되는 자극 무반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