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onfIj/btraQq9xQTl/EaQX3KuARz78zK6JCXUN71/img.jpg)
□ 과각성(hyperarousal) 과각성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있는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련의 증상이다. PTSD가 있는 일부 사람들은 불안이 고조된다. 이는 주변의 자극과 사건에 더 민감하고 과도하게 반응하게 만든다. 이렇게 증가된 민감한 상태를 과각성이라고 한다. 과각성은 사람의 몸이 외상에 대해 생각한 결과 갑자기 높은 경계 상태에 빠질 때 발생한다. 실제 위험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몸은 위험에 빠진 것처럼 행동하며 외상적 사건 후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PTSD는 어린이를 포함하여 모든 연령대의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다. □ 과각성의 원인 과각성의 주요 원인은 PTSD이다. 일반적이진 않지만 알코올 금단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이다. PTSD는 외상 사건으로 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u6SHn/btraQaegy4V/pCnZwuoEWlJ2KyafCtGTTK/img.jpg)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유형 PTSD는 하나의 상태이지만 일부 전문가는 진단 및 치료를 더 쉽게 하기 위해 개인의 증상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한다. 1. 급성 스트레스 장애(ASD) 급성 스트레스 장애는 PTSD가 아니다. PTSD는 외상성 사건 후 한 달 이내에 발생하는 불안 및 회피 같은 일련의 증상이다. ASD를 가진 사람들이 PTSD로 발전할 수는 있다. 2. 해리성 PTSD 트라우마로부터 자신을 분리한다. 해리성 PTSD를 겪는 사람들은 사건으로부터 분리된 느낌을 받거나 자신의 몸 밖에 있는 것처럼 느낀다. 3. 단순 PTSD 외상 사건을 다시 경험하고 외상과 관련된 사람과 장소를 피하는 등 PTSD 증상이 있지만 우울증 등 다른 정신 건강 문제는 없는 경우이다. 종종 치료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ceetO/btraQq9qkQa/6EOrZkQ7I7RlbNR2aducj0/img.jpg)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는 두려움, 충격, 무력감을 느끼게 하는 외상을 경험한 후 발생할 수 있다. 위험이 지나가도 생각과 기억은 되살아난다. PTSD는 플래시백, 수면 장애, 불안 을 포함하여 장기적인 영향을 끼친다. 환자들은 그들의 투쟁-도피 반응이 바뀌어 안전할 때에도 스트레스를 받거나 두려움을 느낀다. PTSD는 인구의 7~8%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되며,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이 남성보다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더 크다. PTSD 증상이 발생한 후 효과적인 치료를 받는 것은 증상을 줄이고 기능을 개선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 일반적으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ILtN/btraInZt2u1/rQxgyO77NCCTrERLgrPCUK/img.jpg)
□ 공포증(Phobia) 공포증이란 과도하고 비합리적인 공포 반응을 말한다. 공포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의 원인을 만났을 때 극심한 두려움이나 공황 상태를 경험한다. 두려움은 특정 장소, 상황 또는 대상이 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불안 장애와 달리 공포증은 특정한 대상이 존재한다. 공포증의 영향은 성가신 정도에서 심각한 장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공포증이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두려움이 비이성적이라는 것을 깨닫기도 하지만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다. 두려움의 반응 때문에 직장, 학교, 개인 관계 등을 방해받을 수 있다. 공포증은 흔한 불안 장애 중 하나이며 모든 공포증을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두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다. - 공포증의 유형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PTNC1/btraBTLlBfd/Hknvny2w1oq2UmRRtvgDsK/img.jpg)
□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샌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항우울제의 일종이다. SSRI는 부작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항우울제다. 울울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다른 상태를 치료하는데 종종 쓰인다. 강박 장애 공황 장애 폭식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월경전 증후군 폐경기로 인한 안면홍조 불안 불안에 대한 처방으로 종종 SSRI가 처방된다. 일부 SSRI는 미국 FDA(미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았다. 여기에는 에스시탈로프람, 파록세틴, 세르트랄린이 포함된다. 모든 SSRI는 오프 라벨로 사용될 수 있다. 오프 라벨은 허가 내용과는 다른 용도나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 사용 가능한 SSRI의 종류 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 플루옥세틴 플루복사민 파록세틴 설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vAImG/btraEgeXdvz/k6QLwNBPuWM6EWwfPrZFW1/img.jpg)
□ 세로토닌 증후군(Serotonin syndrome) 세로토닌 증후군은 높은 수준의 세로토닌이 체내에 축적되도록 하는 약을 복용할 때 발생한다. 세로토닌은 신경 세포와 뇌가 기능하는데 필요한 신경 전달 물질이다. 세로토닌은 다음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된다. 소화 혈액 순환 체온 조절 호흡 다른 종류의 처방약을 복용하다보면 몸에 세로토닌이 너무 많이 축적될 수 있다. 세로토닌이 과하면 떨림 및 설사 같은 경증 증상에서 근육 경직, 발열, 발작 등 중증의 증상을 유발한다. 심각한 세로토닌 증후군은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경미한 형테의 세로토닌 증후군은 증상을 유발하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세로토닌을 차단하는 약물을 복용한 후 하루 이내에 사라진다. □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상 세로토닌 증후군의 증..